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반려인 인식 개선·입양자 지원 병행을” [뉴스 인사이드 - 지자체 '유기동물 줄이기 사업' 봇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태형 동물복지표준협 상임이사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반려인)에게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유기동물을 입양한 보호자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해주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세계일보

이태형(사진) (사)한국동물복지표준협회 상임이사가 유기동물을 줄이기 위해 중요한 방안으로 제시한 의견이다.

이 상임이사는 최근 여러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기동물 입양비 지원과 예방백신 지원, 중성화 수술비 지원 등이 단기적으로는 유기동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그는 “보완해야 할 점도 있지만, 중성화수술과 예방접종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데 중요한 부분”이라며 “비용 문제로 입양을 꺼리는 보호자들이 많기 때문에 유기동물 입양의 허들을 낮춰 준다는 측면에서 실효성이 있는 정책”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도 주문했다. 이 상임이사는 “장기적인 대책은 두 가지 관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첫째는 유기동물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것, 둘째는 유기동물 입양을 장려하는 것”이라고 했다.

세계일보

먼저 반려인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려동물이 아프거나 병원비가 많이 들어서, 마구 짖거나 털이 많이 빠지는 것 같은 문제행동이나 특성 탓에 기르기 힘들다며 유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상임이사는 “사전에 조금만 공부를 했더라면 반려동물 입양에 대해 고민을 했을 것이고, (입양 후에는) 예방접종이나 반려동물 건강검진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주기적으로 동물병원을 찾는다”며 “그러면 나중에 큰 병원비를 감당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명절과 휴가철 등에 반려동물 유기가 30%가량 증가하는 것을 들며 ‘유기하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려동물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을 마련하고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 상임이사는 유기동물 입양을 꺼리는 큰 이유가 질병에 따른 비용문제인 만큼 유기동물을 입양한 가정에 동물 의료비나 예방접종비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등 유기동물 입양 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늘려가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했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