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벤처가 희망이다-좌담회]③"나라 살릴 기업가정신, 중기부 관심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벤처 전문가들, 중기부에 '기업가정신 육성 지원' 요구

"벤처기업 성공 1순위 기업가정신, 정부도 지원해달라"

박영선 장관 평가엔 긍정적 "힘 있는 장관일 때 발전해야"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16일 경기도 판교테크노벨리 다산네트웍스에서 열린 이데일리 신년기획 ‘벤처가 희망이다’ 좌담회에 참석한 이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남민우 다산네트웍스 회장,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회장, 이정희 중앙대 교수, 안건준 벤처기업협회 회장, 오기웅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혁신정책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벤처·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 성공 1순위는 기업가정신입니다. 기업가정신을 육성하고 공유·연구하는 데 중소벤처기업부 지원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16일 열린 이데일리 신년기획 ‘벤처가 희망이다’ 좌담회에 참석한 벤처업계 전문가들은 박영선 중기부 장관 취임 후 10개월 간 성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청에서 부로 승격한 만큼 커진 책임과 역할을 잘 수행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모처럼 피어난 벤처붐 열기를 이어가도록 ‘기업가정신’을 육성하는 데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회장은 “박영선 장관이 열정과 리더십, 능력도 있으니 이번 기회에 벤처 발전을 이뤄내야 한다. 국내 벤처·스타트업이 성장해 향후엔 세계적인 기업이 되도록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우리나라가 이만큼 잘 살 수 있던 이유는 기업가들 노력 덕분인데, 여전히 여론은 기업가들을 비판한다”고 안타까워했다. 황 회장은 이어 “오늘날 필요한 건 지식도 돈도 아닌 기업가정신이다. 청년부터 초등학생까지 기업가정신을 길러야 한다”며 “위험은 물론, 속도와 시간의 변수를 극복한 기업만이 혁신이 가능하다. 이 변수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기업가정신을 육성하고 공유·연구하는 데 중기부가 지원해 달라”고 주문했다.

안건준 벤처기업협회장도 기업인에 대한 인식 제고를 비롯해 기업가정신 확산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했다. 안건준 회장은 “사회 전반적으로 기업인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인 부분보다 부정적인 게 많다. 이는 시장에 맡길 문제가 아니고 정부에서 역할을 해줘야 한다. 큰 분위기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국내 우수한 인력이 창업에 도전하도록 하기 위해선 큰 의미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남민우 다산네트웍스 회장 역시 기업가정신이 벤처생태계를 선순환하는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남민우 회장은 “창업하겠다는 마음은 기업가정신에 비례한다. 기업가정신을 발현하고 청년들에게 퍼뜨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기업가정신을 퍼뜨리는 데 중기부가 노력을 보여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올해가 ‘중소기업 정책 60년’ 이 되는 해인만큼 업계가 체감할 수 있는 제도들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중소기업계에서는 1960년 당시 옛 상공부(현 산업통상자원부)에 중소기업과를 설립한 후 중소기업 정책이 시작한 점을 감안, 올해를 중소기업 정책 60주년이라고 보고 있다.

이정희 중앙대 교수는 “올해는 중소기업 정책 60년이 되는 해로 그간 중기청에서 중기부로 승격을 했고 조직적 측면에서 상당히 발전했다”면서 “한 쪽에선 청에서 부가 됐으나 체감이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나온다. 향후 중소기업계가 직면한 문제가 녹록치 않을 것이기에, 중기부가 정책적인 노력을 많이 펼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지적에 중기부가 더 분발하겠다고 약속했다. 오기웅 중기부 벤처혁신정책관은 “중기부가 2년 간 열심히 했다는 부분은 따뜻하게 봐 달라”며 “청에서 부로 옮기며 많이 바뀐 부분이 있다면, 시장의 흐름에 더 깨어있으면서 기민하게 대응하는 부분에서 획기적으로 변했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 정책관은 이어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기업들이 꾸준히 등장하도록 창업 지원을 이어나갈 것”이라며 “업계가 말하는 아쉬운 점을 보강해 올해 말에는 여러 상징적인 숫자가 바뀔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