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코커스? 프라이머리? 미 대선후보 경선 어떻게 치러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대선후보 경선 방식]

코커스, 15% 미만은 제외하고 다른 후보 골라야

프라이머리는 당원·비당원 누구나 투표


한겨레

미국 민주당 대선 주자인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가운데)이 아이오와주 코커스 하루 전인 2일(현지시각) 아이오와주 인디애놀라의 심슨 칼리지에서 연설하고 있다. 인디애놀라/EPA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대선에 출마할 각 당 후보를 선정하는 경선 방식은 크게 코커스(당원대회)와 프라이머리(예비선거)가 있다. 오는 6월까지 이어지는 주별 경선에서 전당대회 대의원의 과반을 먼저 확보하는 사람이 11월 본선에 출마할 최종 후보가 된다.

코커스는 각 정당이 주관하는 방식으로, 당원으로 등록한 사람만 참여할 수 있다.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 당원들이 모여 토론 과정을 거친 뒤 지지하는 후보에게 공개적으로 손을 들거나 줄을 서서 승자를 가린다. 코커스 방식을 채택한 아이오와주가 매년 2월 초 미국 전역에서 처음으로 경선을 하기 때문에 ‘아이오와 코커스’가 유명하다. 민주당의 경우 올해 아이오와주에서 1678개의 선거구에 걸쳐 코커스를 치른다. 저녁 7시에 각 선거구에 유권자들이 모여 진행한다. 15% 미만 득표한 후보는 제외되고, 그를 지지한 유권자들은 다른 후보자들 가운데 지지 후보를 다시 선택해야 한다.

프라이머리는 일반 선거처럼 정해진 날짜에 유권자들이 선거구에 가서 투표하고 나오는 방식이다. 다른 당적을 갖고 있지만 않으면 당원과 비당원 모두 투표할 수 있다. 미국 50개 주 가운데 대부분이 프라이머리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뉴햄프셔주에서 가장 먼저 열린다. 올해는 2월11일이다.

대의원 수는 각 주의 인구를 고려해 할당되며, 전체 대의원의 과반을 확보하는 자가 최종 후보가 된다. 민주당은 후보자의 득표율에 비례해 대의원을 배분한다. 공화당은 비례 방식을 쓰는 주와 승자독식을 택하는 주가 뒤섞여 있다.

대선 후보를 공식 확정하는 전당대회는 민주당은 7월13~16일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공화당은 8월24~27일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연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