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윤표 퍼팅 연습법을 살펴볼까요. 김혜윤은 “퍼팅도 하나의 스윙이다. 어드레스, 백스윙, 피니시까지 마쳐야 좋은 퍼팅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김혜윤은 피니시 동작을 잘 잡으면 퍼팅 실력도 함께 좋아진다고 얘기합니다. 퍼팅에서도 일반 스윙처럼 척추각, 즉 스윙축을 잘 지키고 머리를 들지 않으면 대부분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굴러간다네요.
“다수 아마추어 골퍼는 퍼팅 시 공을 치자마자 자세가 흐트러진 상태에서 공이 어디로 가는지 바라본다. 스윙이 작아 손목으로 볼을 때리고 마는 경우도 많다”며 “하지만 퍼팅 스트로크도 하나의 스윙이라고 생각하고 좋은 피니시 동작을 만들면 실수가 확 줄어든다”고 설명합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슷한 맥락으로 ‘퍼팅은 눈이 아닌 귀로 하라’ ‘머리를 움직이지 마라’는 말을 흔히 하는데, 이는 퍼팅 피니시를 잘하면 자연스럽게 나오는 동작입니다. 볼이 잘 가는지 보지 말고 딱 1초만 참는 거죠. 물론 머리를 ‘도리도리’하듯 스윙축을 기준으로 머리가 회전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시선이 볼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단지 머리를 들거나 몸을 들어 올리며 볼을 보면 안 된다는 얘기죠.
![]() |
스윙축을 지키라는 말이 반복되는데 무슨 뜻일까요. 퍼팅 어드레스 때 스윙축은 꼬리뼈부터 정수리까지 일직선을 이루는데, 이 모양을 잘 유지하라는 겁니다. 머리가 앞으로 나가지 않고 어드레스 상태를 유지하며 몸통만 돌리면 스윙축이 전혀 흔들리지 않죠. 이렇게 스윙축을 유지해야 퍼터 헤드가 볼에 맞은 뒤에도 앞으로 뻗으며 볼이 원하는 방향으로 갑니다. 팔이 아닌 몸통을 사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김혜윤은 “아마추어 골퍼는 퍼팅 때도 하체를 쓰거나 팔로만 치려는 경향이 있다”며 “겨드랑이를 몸에 살짝 붙이고 몸통 전체로 스트로크하면 훨씬 일관성 있는 퍼팅이 가능하다”고 조언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볼을 잊는 것’입니다. 김혜윤은 “볼을 때린다는 생각을 잊어야 한다. 볼이 없는 상태에서 빈 스윙을 하고 그 느낌을 살려 퍼팅하는 연습을 반복하면 좋다”고 했습니다. ‘나는 (퍼팅) 스트로크를 한다, 고로 볼은 앞으로 나간다’는 말이 이런 의미였죠.
[조효성 매일경제 기자 hscho@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 2044호 (2020.2.5~2020.2.11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