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세계 최초 환경감시 정지위성 ‘천리안 2B호’ 발사 성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천리안 2B호를 실은 발사체 아리안 5의 모습 발사 모습. 아리안스페이스TV 화면캡쳐, 연합뉴스


독자기술로 빚은 ‘천리안위성 2B호(정지궤도복합위성 2B호)’가 성공적으로 날아올랐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대기와 해양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정지궤도 위성 보유국이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19일 오전 7시 18분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천리안 2B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천리안 2B호는 발사 31분 뒤 고도 1630㎞ 지점에서 아리안-5 발사체에서 분리됐고, 발사 37분 뒤에는 호주 야사라가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교신을 통해 위성 본체와 시스템이 양호한 것과 위성이 목표 전이궤도에 안착한 것을 확인했다.

천리안 2B호는 향후 약 2주 동안 5차례 궤도를 변경하며 상공 3만6000㎞까지 전위궤도를 지난 뒤 정지궤도 지점을 찾아 이동하는 표류궤도를 거쳐 최종 목표 정지궤도에 이른다.

정지궤도에 이르면 정식운용을 위한 각종 성능 최적화 및 조정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 과정까지 마무리한 뒤 오는 10월부터는 해양정보, 내년부터는 대기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임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한다. 여기까지 최종적으로 마무리 돼야 ‘개발 성공’ 판정을 받는다.

세계일보

'천리안2B호'가 18일(현지시간, 한국시간 19일 오전 7시18분) 남아메리카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아리안스페이스 캡처, 뉴스1


천리안 2B호는 정지궤도에서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물질을 관측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위성이다. 환경관측센서인 젬스(GEMS)로는 미세먼지와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포름알데히드, 오존 등 20개 대기 오염 물질의 농도를 하루에 8번씩(주간) 관측한다. 관측 범위는 일본에서 인도네시아 북부, 몽골 남부를 포괄하는데, 이 안에는 필리핀,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13개 국가가 포함된다.

우리나라는 천리안 2A호와 2B호를 개발하며 정지궤도 위성 개발에 대한 독자기술을 확립했다. 천리안 2B는 환경탑재체를 가진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의 발생 지역과 국가를 초월한 이동경로 등을 더욱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해양에서 적조와 갈조, 해빙, 해무 등의 환경 변화도 면밀히 살필 수 있다. 해양탑재체에는 하루 한 번 지구 전역(전구)을 관측하는 기능이 있어 엘니뇨나 라니냐 등을 연구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준영 기자 papeniqu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