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총선 앞두고 닫힌 실시간 검색어…갑론을박 이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네이버`와 `다음`이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와 관련해 온라인상에서는 찬반 토론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이 오는 4·15 총선을 앞두고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 중단을 선언했다. 이와 관련해 온라인상에서는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19일 선거의 공정성을 위해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또 연예 기사 댓글도 잠정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카카오는 연예 댓글 폐지 등을 단행한 바 있다. 20일부터는 포털사이트인 다음의 '실시간 이슈검색어' 서비스도 전면 종료됐다.

네이버 연예 댓글 폐지와 관련해 누리꾼들은 "연예 댓글 폐지는 정말 잘했네요. 더이상 댓글로 마음 아프지 않기를"(rang****), "연예 댓글 폐지는 자유에 반하지만 없애야 한다. 사람들이 자유를 빙자한 테러를 장난처럼 즐기고 있기 때문"(acc5****), "연예 댓글 잠정 폐지? 영구 폐지해라" 등 대부분 찬성하는 의견을 표했다.

다만 총선 기간 동안 이뤄지는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 중단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양립했다.

찬성 측에서는 "그냥 폐지해라 잠정이 뭐냐? 사실 그거 어디에 좌표 찍히면 순위 올리는 것 너무 쉽다" (hbir****), "뉴스기사란에 조직적으로 링크타고 들어오는것도 필히 차단해달라. 한 천명정도의 집단이 조직적으로 여론 조작하는 게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niky****) 등의 의견을 보였다.

반면 반대 측에서는 "정치/연예 말고 나머지 실시간 급상승은 놔달라. 신종 코로나19, 지하철 고장 등은 국민에게 빠르게 전달해야 하는데 혼란이 우려된다"(namn****), "여권에 불리하니 이런 결정을 내렸겠지"(refe****) 등의 반응을 보였다.

지난 2005년 네이버가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를 도입한 이후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논란은 꾸준히 발생했다.

이용자의 관심과 이슈를 보여주는 본래의 목적과 달리 여론을 왜곡한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또 특정 집단이 조회수와 광고 수익을 높일 수단으로 검색어 순위를 이용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특히 실시간 검색어의 신뢰성 논란은 지난 8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과 관련해 찬반 세력이 검색어로 세력 다툼을 펼치면서 더욱 확산됐다.

지난 8월 27일 조국 전 장관을 지지하는 측이 '조국 힘내세요'라는 문구를 실검 1위에 올리자 반대 측에서는 '조국 사퇴하세요'로 맞불 작전을 펼쳤다.

이와 관련해 정치권에서는 여론에 따라 실시간 검색어 순위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소수 집단의 움직임으로 결과가 좌우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여야는 최근 일명 '실검금지법'으로 불리는 '매크로 금지법'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매크로 금지법은 인터넷 사이트들이 매크로 프로그램(단순·반복 작업을 자동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검 조작 금지 등의 대책을 의무화한 법안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해당 법안의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뉴스국 서주희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