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소비심리와 경제상황

[코로나19 '심각'] 2월 소비심리 '뚝'…메르스 수준 타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메르스 수준으로 급격히 위축됐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 96.9…역대 3번째 최대폭 감소

[더팩트|한예주 기자]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소비심리가 과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수준으로 얼어붙었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는 96.9로 1월 대비 7.3포인트 급락했다.

메르스 사태로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던 2015년 6월(-7.3포인트) 이후 4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10월(-12.7포인트)과 동일본 대지진 여파가 미친 2011년 3월(-11.1포인트)에 이어 메르스 때와 마찬가지로 역대 세 번째로 소비심리가 크게 꺾인 것이다.

코로나19가 더 퍼질 수 있다는 우려에 소비심리는 잔뜩 위축됐다. 설 명절 이후 전통시장, 대형마트, 백화점, 복합쇼핑몰에는 소비자들의 발길이 많이 줄어든 상태다. 지수를 구성하는 세부 항목들이 큰 폭 하락한 것은 물론 취업기회 전망, 임금, 물가상승률, 금리 수준 등에 대한 전망이 전방위적으로 나빠졌다.

소비지출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106, 가계수입전망 CSI는 97을 기록하며 각각 4포인트씩 내렸다. 취업기회전망 지수는 7포인트 빠진 81로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임금수준전망 지수는 3포인트 내린 116, 금리수준전망도 3포인트 떨어진 92였다.

경기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현재경기판단과 향후경기전망CSI는 이달 각 66, 76으로 전월보다 12포인트, 11포인트씩 떨어졌다.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현재생활형편 전망과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지수, 소비지출전망도 각 2~4포인트 내려갔다. 취업기회전망지수는 81로 7포인트 하락했다. 일자리에 대한 인식도 나빠진 셈이다.

향후 1년 뒤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보여주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해 역대 최저 수준인 1.7%로 되돌아갔다. 경기 불안감으로 미래 물가상승률에 대한 기대도 떨어졌다는 얘기다. 다만 물가인식은 1.8%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규제가 계속되면서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꺾였다. 주택가격전망CSI는 112로 전월보다 4포인트 내렸다.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한 것으로 지난해 9월(109)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가계부채CSI는 99로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2008년 7월 이후 최저치였다.

hyj@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