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비례정당 창당’ 놓고 시끄러운 민주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건영이 군불 때자 민병두·송영길 등 가세…당내 일각 “지도부가 부추기나”

더불어민주당의 ‘비례대표 의석 확보용’ 위성정당 창당 논란이 커지고 있지만 지도부가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내에선 지도부가 위성정당 창당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위성정당 창당에 선을 그어야 한다”는 요구가 분출하고 있다.

창당을 주장하는 쪽은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 위력에 맞대응해야 한다는 논리를 편다. 송영길 의원은 25일 CBS 라디오에서 “(미래한국당의) 반칙 행위를 뻔히 보고도 당해야 되는 것인지 고민이 있다”고 밝혔다. 위성정당 창당론은 지난 21일 윤건영 전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민병두 의원과 정봉주 전 의원, 무소속 손혜원 의원 등이 위성정당 창당 불가피성을 주장했다. 당내 전국청년위원회를 ‘청년민주당’으로 개편해 청년 비례의석 확보용으로 운영하자는 주장도 있다. 장경태 전국청년위원장은 “당내에 ‘청년 의병’이 일어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지도부 내에서도 불가피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23일 “여러 의병이 만드는 것을 말릴 수는 없지 않으냐”라고 했다. 당이 주도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지지자·당원들의 자발적 창당은 막지 못한다는 의미다. ‘지지자 정당’의 경우 미래한국당과 성격이 다르다는 설명도 덧붙여 졌다.

하지만 지도부는 위성정당 창당이 선거제 개혁의 취지를 훼손하는 행위라고 지적하며 미래한국당 창당을 비판했다. 이 원내대표 발언은 1당 사수를 위해 정치개혁을 거스를 수도 있다는 뜻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위성정당이 지지자 정당 성격이라고 강조하는 것도 책임 회피성 발언으로 들린다. 미래한국당도 독립성을 강조하지만 모당(母黨)인 미래통합당 총선 불출마자 이적 등을 창당 기반으로 삼는다.

당 안팎에선 지도부가 창당 논란을 매듭지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재선 의원은 “이 시점에 비례정당을 창당하면 지역구 선거는 초토화된다. 무슨 명분으로 지지를 호소할 텐가”라고 반문했다.

현시점에서 창당은 불가능하다는 반응도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창당에만 3주 걸리고 공천에만 2~3주가 걸린다”고 말했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지금 많이 보는 기사

▶ 댓글 많은 기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