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공직자 재산]재산 평균 13.3억…80% 재산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25일 세종시 인사혁신처에서 직원들이 '2020년 정기재산변동사항 공개목록'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인사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지난해말 기준 우리나라 고위 공직자의 평균 재산은 13억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재작년말과 비교해 1년 새 8600만원 늘어난 수치다. 10명 중 4명 꼴(44.1%)로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이 같은 재산변동 내역이 담긴 '2020년 정기재산공개 목록'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재산공개대상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가' 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 교육감 등 총 1865명이다.


재산공개 대상자 중 77.5%(1446명)은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증가했고, 22.5%(419명)는 줄었다. 재산 변동 사유로는 토지의 개별공시지가 및 공동주택?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 등에 따른 가액 변동으로 인한 재산증가가 4400만원(51.2%)이었고, 급여 저축이나 상속·수증(受贈) 등으로 인한 순재산 증가 폭은 4200만원(48.8%)으로 나타났다.


규모 별로 살펴보면, 10억~20억원 사이 재산을 보유한 인원이 489명(26.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억~10억원 461명(24.7%), 1~5억원 453명(24.3%), 20억원 이상 334명(17.9%), 1억원 미만 128명(6.9%) 순이었다.


주요 인사로는 문재인 대통령이 종전보다 6600만원 줄어든 19억49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문 대통령과 직계가족이 보유한 부동산, 예금 등은 소폭 올랐으나 지난해 별세한 모친 강한옥 여사의 보유재산(1억5148만원)이 등록에서 제외된 영향이다.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은 24억1972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노 비서실장은 배우자와 공동 소유한 충북 청주시 흥덕구 소재 아파트 1억5600만원, 서울 서초구 반포동 소재 아파트 4억6100만원 등을 신고해 여전히 다주택자로 나타났다.


청와대 참모진 중 재산이 가장 많은 공직자는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2차장으로, 종전보다 약 5억5000만원 증가한 58억51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공직자는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으로, 1년 새 4억4335만원이 늘어 총 13억8970만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조원 민정수석도 1년새 3억6197만원 늘어난 33억493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국무위원 중에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07억63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광역자치단체장 가운데는 오거돈 부산시장이 64억4700만원을 신고해 재산 최상위자로 기록됐다.


이번 재산공개 대상자 전체 중 재산이 가장 많은 공직자는 179억3100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주진숙 한국영상자료원 원장이다. 이어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137억2900만원), 김창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133억942만워), 성중기 서울시의회 의원(132억3119만원) 순이었다.


재산등록 의무자는'공직자윤리법' 제6조에 따라 매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재산변동사항을 다음 해 2월 말까지 신고해야 한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신고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내역을 공개하도록 돼 있다.


아울러 오는 6월 말까지 신고된 재산변동 사항에 대한 심사를 진행한다. 거짓 기재하거나 중대한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기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경우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측은 "국민들로부터 신뢰받는 공직사회 구현을 위해 재산등록 및 심사제도를 지속적으로 엄정하게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