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대법 “현대차 연구소서 일한 협력업체 근로자들도 본사가 고용한 파견근로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 김형민 기자]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2년 이상 일한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대법원으로부터 "현대차가 직접 고용한 파견근로자"로 인정받았다.


대법원은 이에 따라 이들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그동안 정규직과 차이가 났던 임금도 배상받아야 한다고 판결했다.


대법원 3부(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26일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약 10년간 일해온 협력업체 소속 박모씨 등 4명이 현대차를 상대로 "근로자 지위를 확인해달라"고 낸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원심이 근로자파견의 요건이나 사내도급과의 구별 기준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고 이유를 밝혔다.


박씨 등은 이 판결로 정규직과 임금 차별을 받았다며 그 차액으로 청구한 3700만∼4000만원을 각각 손해배상금으로 지급받게 됐다.


이들은 2005∼2006년부터 현대차의 신차 연구ㆍ개발을 담당하는 남양연구소에서 시험용 자동차의 도장업무를 담당했다.


박씨 등은 모두 현대차와 도급계약을 맺은 협력업체 소속으로 일했다. 도급업체가 한 차례 교체되고서도 모두 고용이 승계됐다. 이들은 2014년 10월 현대차를 상대로 근로자 지위에 있음을 확인해 달라는 소송을 냈다.


1심은 "원고들이 고용의무 발생 시점부터 계속해서 현대차의 양산공장 내 도장공정에서 일한 현대차 소속 근로자들과 실질적으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담당해왔다고 봄이 타당하다"며 박씨 등의 손을 들어줬다.


2심도 "도장작업에 투입될 근로자의 수, 일일 작업량, 작업시간, 작업방법, 작업순서, 작업내용, 작업속도, 작업장소 등을 협력업체가 아닌 현대차가 정했다"며 1심 판결을 유지했다.


재판부는 근로관계의 실질에 따라 진정한 도급계약과 근로자 파견계약(위장 도급계약)을 구분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례로 볼 때, 이들이 도급계약이 아니라 현대차에 파견돼 현대차의 직접 지휘ㆍ명령을 받은 파견계약 근로자라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박씨 등은 파견근로자보호법의 적용을 받아서 최초 입사일로부터 2년이 지난 이후부터는 현대차가 직접 고용 의무를 부담한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이러한 원심 판단이 옳다고 봤다. 앞서 대법원은 현대차 아산공장 등의 사내하청을 파견근로라고 판단한 바 있는데, 이번에 이번 판결로 연구소에서의 협력업체 근로까지 파견근로 인정 범위를 넓혔다.


이 사건 원고들을 법률 대리한 김기덕 법률사무소 새날 변호사는 "이번 대법원 판결은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로만 수행하는 업무에 관해서도 파견근로로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슷한 형태로 사내협력업체 근로자를 사용해온 자동차, 전자, 철강 등 제조업 사업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