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3 (금)

`코로나판데믹`발 최악 위기…파월 "美경제, 침체일 수 있지만 연준은 탄약 충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현지시간) 이달 셋째 주 미국 주간 실업수당 신규 청구 건수가 328만3000건으로 사상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사상 최악의 실업난을 경험한 2009년 넷째 주(66만5000건)보다 5배 가까이 많고, 직전 주간인 이달 둘째 주(28만1000건) 대비 11배 가량 폭증했다.

매일경제

이달 셋째주 미국 실업수당 신규 신청 건수가 사상 최고치에 달해 2008년 금융위기 당시를 뛰어넘었다. [사진 출처 = 블룸버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 증시 폭등·폭락으로 대표되는 최근 금융시장 불안에 더해 일자리 등 실물 시장 위기가 본격화되자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같은 날 실업수당 청구 건수 발표에 앞서 NBC인터뷰를 통해 연준이 지원 사격에 나설 것임을 강조하고 나섰다.

파월 의장은 이날 26일 "우리의 정책 탄약이 바닥날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면서 "(최후의 대출자로서)연준은 대출 지원 여력이 충분하고, 또 다른 차원에서 경제를 떠받칠 정책 여력도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중앙은행은 금융권 대출을 조정하는 최후의 대출자 혹은 은행들의 은행으로 불린다.

파월 의장의 이런 발언은 앞서 23일 연준이 사실상 무제한 양적 완화(QE)를 발표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연준이 전방위로 나서서 시중에 달러를 풀 것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다른 차원'의 정책 수단을 강구할 수도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

한편 파월 의장은 코로나19판데믹(대유행)과 관련해 "우리 경제가 침체일 수도 있다(we may very well be in a recession)"면서도 "다만 우리 경제 기초체력(펀더멘털)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례없는 일들이 벌어지는 상황이지만 우리는 시장에 발 맞출 수 있다. 연준이 하는 일은 신용(금융 자금)이 필요한 곳에 신용이 조달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파월 의장은 "우리 미국 경제는 매우 강하다. 연준은 그런 미국 경제가 다른 강력한 힘을 얻을 수 있도록 다리를 놓으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좋은 반등이 있을 수도 있다(there can also be a good rebound)"고 언급하기도 했다.

앞서 23일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준은 '필요한 만큼' 자산을 사는 방식으로 달러를 풀겠다는 기습 선언을 한 바 있다. 지난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 당시 밴 버냉키 연준 의장이 했던 '헬리콥터 머니'처럼 파월 의장도 시장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QE에 나선 셈이다.

당시 연준은 "코로나바이러스 위기는 거대한 고난"이라면서 "시장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금액(in the amounts needed)만큼 자산 매입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재무부가 발행한 미국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한도를 미리 정하지 않고 달러를 풀겠다는 것이다. 연준은 또 대출 기관 3곳을 새로 만들고 이를 통해 회사채·지방채·자산담보부증권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최대 3000억 달러(약 380조원) 한도에서 기업과 가계를 지원하겠다고 밝히는 등 전방위 지원에 나선 상태다.

이는 지난 15일 연준이 긴급 발표를 통해 기준금리인 연방 기금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0~0.25%로 전격 인하하고, 7000억 달러(약 843조 5000억원) 규모 미국 국채와 MBS를 사들여 시장에 유동성을 더 공급하기로 한 데 이은 추가 조치다. 앞서 지난 3일 연준은 코로나판데믹 충격에 휩싸인 시장 불안을 줄이기 위해 기습적으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1.50~1.75%->1.00~1.25%)함으로써 본격적인 지원사격에 나서기 시작했다.

[김인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