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美 화웨이 2차 공세…반도체 제조장비·칩 공급제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국기업들 사전 허가 받아야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세계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를 겨냥해 반도체 제조장비와 칩 공급을 제한하는 '2차 공세'를 취할 조짐이다. 지난 1월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로 양국간 해빙무드가 조성됐으나,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책임소재를 따지며 양국간 관계가 다시 경색되는 상황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미국은 지난해 5월 5G 차세대 통신망 구매거래 등과 관련해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리는 등 '1차 공세'에 나선 바 있다.


26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 행정부의 경제 및 통상 고위 관계자들은 화웨이에 반도체 제조장비와 칩 공급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의 칩 제조장비를 사용하는 외국 기업들이 화웨이에 특정 칩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국 당국의 허가를 받도록 한 게 골자다. 미 상무부는 지난달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 같은 반도체 기업이 화웨이에 칩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외국직접생산규정(FDPR)' 초안을 마련한 바 있는데, 이번에 후속조치를 내놓은 셈이다.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들은 미국의 칩 제조장비 없이 생산이 불가능하다. 중국광다은행은 지난해 보고서에서 "중국 내 반도체칩 메이커 대부분이 KLA 등 미국 회사 장비를 사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같은 조치를 꺼내든 것은 사실상 화웨이가 핵심 반도체 기술에 접근할 수 없도록 원천봉쇄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미 상무부 역시 "전 세계 모든 반도체 제조공장이 화웨이에 장비를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게 목적"이라고 공공연히 밝혀왔다.


이번 조치가 실행된다면 화웨이의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에 장비를 공급하는 TMSC 뿐만 아니라, 화웨이의 글로벌 공급망 및 매출, 연구개발(R&D)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이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가가 남은 상황이라 변경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에 서명한 이후 화웨이에 대한 추가 규제를 단행할 경우 중국과의 관계가 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앞서 화웨이와 계열사들을 무역 '블랙리스트'에 추가한데 이어 최근에는 유럽 내 동맹국을 대상으로 화웨이 제품을 쓰지 말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