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 상용화 1년…여전히 안 터져서 ‘속 터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LTE보다 20배 빠르다”더니…

이동 차량·실내서 신호 잘 안 잡혀 ‘가입자 500만명’ 목표 겨우 충족

2023년 지나야 안정적 품질 가능

통신요금 인하 대책도 지지부진 “올해 28㎓대역 개통…나아질 것”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8월 5세대(G) 이동통신에 가입한 서울의 신모씨(40)는 초고속통신을 제대로 써본 기억이 없다. 출퇴근이나 지방 출장 때 차량이나 기차 안에서 5G 신호가 잘 뜨지 않았다. 신씨는 “5G와 LTE 신호가 번갈아 잡혀서 속도가 더 느려진다”며 “답답한 마음에 ‘LTE 우선모드’로 설정해 놓고 지낸 지 오래”라고 말했다.

국내 5G 이동통신이 다음달 3일 상용화 1주년을 앞두고 ‘LTE(4G)보다 안 터지는 5G’라는 오명에 직면했다.

“LTE보다 20배 빠르다”던 5G 홍보문구와 달리 소비자 실망이 크다. 특히 실내에서 5G가 속시원히 안 터진다는 원성이 잦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스마트팩토리 등 5G에 기반한 서비스도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29일 정부와 통신업계에 따르면, 이통사가 지난해 목표치로 내세운 ‘가입자 500만명’은 이달에야 겨우 충족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월 말 5G 가입자가 495만명이라고 밝혔다. 5G 가입자가 주춤한 이유는 신호가 잘 안 잡혀 차별화된 서비스가 별로 와닿지 않기 때문이다.

전국에서 안정적으로 5G가 잡히는 건 2023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과기정통부는 5G 속도를 측정하는 통신품질 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 5G 기지국 설치를 진행하고 있다는 이통사의 입장을 감안해서다. 정부는 오는 11월 서울과 6대 광역시, 85개 시·도 주요 행정동을 대상으로 통신품질을 평가한다. 내년과 내후년 85개 시·도 전체 행정동으로, 2023년 전국 읍·면·동으로 확대한다. 바꿔 말하면, 올해까지 85개 주요 시·도의 일부지역에서, 2023년 전까지 전국에서 5G가 안정적으로 잡히지 않는다는 뜻이다.

5G 요금 인하도 지지부진하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올 1월 “(3만~4만원대) 5G 중저가 요금제는 알뜰폰 시장에서 먼저 출시”되며 “일반(고객)의 중저가 요금제는 조금 더 이야기돼야 한다”고 밝혔다. 5G망 투자비용이 커서 당장 3만~4만원대 요금제를 내놓기 어렵다는 통신사 입장을 반영해, 알뜰폰 위주로 통신비를 낮추겠다는 의미다.

그러나 올 1월 5G 알뜰폰 가입자는 227명으로 전체의 0.003%뿐이다. 또한 최근 3주간 이통 3사에서 알뜰폰으로 갈아탄 고객보다 알뜰폰에서 이통 3사로 넘어간 고객이 더 많다.

그럼에도 5G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는 2025년까지 5G 가입자가 전체의 18%(약 15억8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KT경영경제연구소는 2030년까지 5G와 직접 연관된 산업규모만 42조원으로 예측했다. 정부가 올해 5G 관련 예산을 지난해보다 87% 늘린 6500억원으로 잡은 것도 이 때문이다.

올해 이통 3사는 기업 간 거래(B2B) 시장에 중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개인소비자와의 거래(B2C) 시장은 포화상태인 반면 클라우드,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차, 드론 등 기업 시장은 커지고 있어서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올해 28㎓대역에서 5G 단독규격(SA)이 개통되면 통신속도가 크게 빨라질 것”이라며 “이에 따른 B2B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곽희양 기자 huiyang@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