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대구 학원 휴업, 지역별 편차 커 형평성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부에선 교육 양극화 현상 우려

학원가 "실질적인 지원 대책 있어야"

뉴시스

[서울=뉴시스] 박미소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에도 다시 문을 여는 학원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학원가에서 마스크를 한 학생이 지나가고 있다. 2020.03.19. misocamera@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뉴시스]이지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집단감염 예방을 위해 운영제한 업종으로 지정된 대구지역 학원업계에 일괄적인 조치와 그에 따른 실효성 있는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0일 지역 학원가에 따르면 교육부의 강력 권고에 따라 대구 지역 90%이상 학원이 휴업에 동참하고 있다. 일제히 휴업에 들어간 지 한 달 이상 지나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지만 지자체와 교육청의 미온적인 대처로 혼란만 가중된다는 주장이다.

휴업 권고에 따른 직접적인 지원 뿐 아니라 지역적 편차로 인한 교육 양극화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대구에서 영어 학원을 운영 중인 이모(54·여·달서구)씨는 "일시적으로라도 학원에 일괄적인 규제를 하면서 동시에 실효성 있는 지원이 병행됐어야 한다"며 "과외식으로 운영하는 일부 학원들은 한 번도 안 쉰 곳도 있다. 시나 교육청의 실질적인 지원 대책도 없는 상황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휴업 권고를 지킨 사람들만 억울할 수 있다는 의견들이 조금씩 나오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실제로 소수 인원으로 수업하는 수성구 등 일부 학원들은 운영을 계속하고 있다. 휴업 중인 학원과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 과목당 1달 수업료가 200만원이 훌쩍 넘는 등 가정 형편에 따른 양극화 우려도 나온다.

이들은 휴업에 동참하지 않은 이유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업료와 대입을 앞둔 학습 공백에 대한 우려 등을 꼽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학원 관계자는 "일부 수업은 오히려 일주일 1회 수업을 2~3회로 늘려 진행하고 있다. 회당 수업료가 최소 20만원 이상으로 휴업 시 손실이 꽤 클 수밖에 없고 고등부 학생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과목을 집중할 수 있는 시기로 여겨져 학부모들 요구도 꽤 있다"고 했다.

이 같은 지역적 편차로 인한 학습 양극화에 대한 우려도 나오면서 일괄적인 규제와 보편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지자체와 교육청은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구교육청 관계자는 "사적인 영역으로, 교육청은 사실상 권고만 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도 많지 않다. 학교나 학생에 대한 지원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교육감이 나서서 지자체 중 가장 먼저 학원 업계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고 지금도 대구시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동화 대구학원총연합회장은 "울산의 경우 학원장들에게 100만원씩, 강사들에게 월 50만원씩 두달간 일괄 지원하기로 한 것으로 알고 있다. 발열 체크를 위한 비접촉식 체온계도 지원한다는데 대구교육청은 손소독제 등만 제공한다고 하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그는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대구지역 학원에게는 직접적인 지원이 없다. 대구는 휴원도 빨리 시작됐다. 피해 상황을 보면 20~30% 정도로 휴원하고 있는 타 시도와 비교가 안 된다. 특례보증 등 정부가 지원 계획을 발표했지만 사실상 선대출로 지탱하라는 말과 같다. 정부의 권고대로 학생 건강을 최우선으로 휴업 중인 학원들에게 실효성있는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대구지역 학원연합회는 이날 학원장 4200명을 대상으로 개원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만간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대구시와 대구교육청에 직접적인 지원을 요청을 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lj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