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강세 토픽] 스마트홈 테마, 텔레필드 +6.28%, 와이솔 +4.2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마트홈]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13% 상승세이다. 텔레필드(091440)+6.28%, 와이솔(122990)+4.20%, HDC아이콘트롤스(039570)+3.81%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스마트홈이란 가전제품을 비롯한 집 안의 모든 장치를 연결해 제어하는 기술. 스마트폰 등 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 접목이 가장 용이한 산업으로 향후 사물인터넷 시장 성장에 따라 수혜 전망.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2020년에 20조원 전망. 이에 가전 제조사와 통신 사업자들이 스마트홈 시장 선점을 위한 제품·서비스 출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중.
이에 스마트 보안기기·서비스 등 관련 수요 증가. 2018년 전 세계 스마트기기 시장 매출은 280억 달러(약 31조 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IHS마킷).
(마지막 업데이트 2018. 12.13.)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텔레필드(091440)+6.28%네트워크 장비 업체로, 가스·화재를 감지하는 스마트홈 기술 보유.
와이솔(122990)+4.20%RF(무선 주파수) 제품인 SAW Filter와 블루투스 모듈 등을 제조. LTE 단말기 확대에 따라 SAW 필터 수요 증가. IOT(사물인터넷) 생활가전 제품의 무선통신기능 탑재 확대도 수요 증가요인.
HDC아이콘트롤스(039570)+3.81%현대산업 계열사로 빌딩관련 토털 솔루션 제공하는 건설 IT기업. 아이파크 신축아파트에 모바일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구축을 통한 스마트홈 서비스 구현. 신축 건물에 에너지관리 시스템인 BEMS를 설치하는 IBS 사업부도 영위.
하츠(066130)+3.45%부엌 렌지후드 국내 1위 기업. DIY(Do It Yourself) 보안시스템 'Necon'을 출시했으며, 해당 시스템에 가전제품 제어, 스마트 램프 기능도 탑재.
코콤(015710)+2.70%도어폰, 인터폰, CCTV 생산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기업으로 주로 건설사와 시공사에 납품.
윈팩(097800)+2.36%반도체 업체로, 공기청정기와 에어컨 등에 들어가는 삼영S&C의 미세먼지 센서 위탁 생산·검사.
유니트론텍(142210)+2.32%SK텔레콤과 스마트홈 IoT 사업제휴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이를 통해 스마트홈 관련 IoT 신제품, 스마트폰 앱·관리시스템 등을 개발해 2019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공급할 계획.
어보브반도체(102120)+2.28%비메모리 반도체 설계 업체로, 가전제품용 MCU(마이크로컨트롤러) 주력. SK텔레콤과 IoT용 블루투스 시스템 개발.
필룩스(033180)+1.86%조명 업체로, IoT 관련 무선통신형 홈네트워크 개발.
현대통신(039010)+0.19%스마트홈에 해당되는 홈네트워크 및 홈 오토메이션 업체로 최근 NFC(근거리 무선통신)를 활용한 스마트 도어폰 분야 등 신사업 진출.
삼진(032750)-0.26%리모컨, 스피커 등을 만드는 소형 가전 업체로, 삼성전자 IoT 핵심 플랫폼 공급.
코맥스(036690)-0.38%홈 네트워크 기업으로 가정용 인터폰, 홈네트워크시스템을 12여개국에 수출, SK텔레콤과 IoT 스마트홈 사업 제휴.
에스원(012750)-1.13%'SECOM' 을 서비스하는 국내 보안서비스 시장 1위 기업으로, 스마트홈 시장의 성장에 따라 동사의 홈시큐리티 서비스 성장 가능성 부각.

스마트홈 테마 차트



조선비즈

3개월 등락률 -28.0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개월 등락률 -22.44%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주 등락률 +13.6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C-Biz봇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