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강세 토픽] 무선충전기술 테마, 알에프텍 +11.04%, 켐트로닉스 +6.14%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선충전기술]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81% 상승세이다. 알에프텍(061040)+11.04%, 켐트로닉스(089010)+6.14%, 아이엠텍(226350)+6.09%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무선충전은 기존의 충전방식에서 선을 없애고 대기를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
무선 충전 기술은 세계무선충전협회(WPC)에서 정한 자기유도방식(Qi), PMA(Power Matters Alliance)단체의 자기유도방식(PMC), 공진유도방식으로 나뉨. 자기유도방식은 충전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4mm 이하로 떨어져 있어야 충전이 진행되기 때문에, 사실상 유선과 다를 바가 없다는 단점이 있음. 공진유도방식은 장거리에서도 충전이 가능하지만 단점은 전송/수신 장치가 10% 정도만 벗어나도 효율이 50% 이하로 떨어짐.
최근 무선충전기술의 수요가 모바일 폰에서 다양한 디바이스(웨어러블, 소비자용 의료 등)로 옮겨가는 중.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기선을 대체하기 위해 전기차 업계에서도 무선 충전 기술개발에 집중하는 중.
연간 무선 전력 송신기와 수신기 출하량은 2017년 4억 5000만대에서 2023년 22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2027년까지 무선 충전 출하량은 75억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IHS).
(마지막 업데이트 2019. 2. 13.)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알에프텍(061040)+11.04%한솔그룹 계열의 전자부품 업체. 스마트폰, 발열 텀블러, 블루투스 스피커, 조명 등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다용도 무선충전패드 생산. 휴대폰용 무선충전 RX 모듈사업 영위.
켐트로닉스(089010)+6.14%무선충전 소재 및 모듈 제조 사업을 영위. 자기유도형 무선충전 Tx 모듈을 개발. 갤럭시 S7용 스탠드형 무선충전 Tx Coil/ 갤럭시S7용 보조배터리겸 무선충전 Tx Coil 무선충전 Tx Coil 개발 양산.
아이엠텍(226350)+6.09%무선 충전 복합 안테나 등을 제조/판매. 메탈 케이스 무선 충전기술 개발.
LS(006260)+3.11%자회사 LS전선이 무선 충전 모듈 개발. 갤럭시 S2 및 아이폰 4S용 무선충전기 "차버"를 출시(Qi 인증)한 이력 보유.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 용 무선충전 모듈 개발.
유아이엘(049520)+2.33%휴대폰 부자재와 키패드를 만드는 회사로, 최근 무선충전용 패드 생산
한솔테크닉스(004710)+1.58%한솔그룹 계열의 전자부품 업체. 스마트폰, 발열 텀블러, 블루투스 스피커, 조명 등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다용도 무선충전패드 생산. 휴대폰용 무선충전 RX 모듈사업 영위.
삼화전자(011230)+1.40%삼성전자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부품인 코일의 핵심소재 생산.
LG이노텍(011070)+0.88%유선 충전기와 동급 성능 구현하는 무선충전 송신 모듈 개발.
이랜텍(054210)+0.61%무선충전 융합 기술에 대한 국책과제 진행 경험 보유.
이그잭스(060230)+0.30%NFC(근거리 무선통신)안테나 전문 제조사로, 무선충전·NFC 복합안테나 생산.
아모텍(052710)+0.28%삼성페이(NFC+MST)와 무선충전 모듈 생산.
포스코 ICT(022100)0.00%포스코 건설 브랜드 더샵에 첨단 시스템 개발. 특히 아파트 벽면에 충전기를 매립하여 휴대용단말기(핸드폰, 원패스카드 등)를 일반 콘센트에 연결하지 않고도 충전을 할수 있는 벽체매립형 무선충전기를 포스코건설, LS전선과 공동으로 개발.

무선충전기술 테마 차트



조선비즈

3개월 등락률 -32.54%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개월 등락률 -26.3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주 등락률 +10.3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C-Biz봇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