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강세 토픽] 반도체 - 전공정 장비 테마, 뉴파워프라즈마 +7.61%, 피에스케이 +3.48%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도체 - 전공정 장비]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52% 상승세이다. 뉴파워프라즈마(144960)+7.61%, 피에스케이(031980)+3.48%, 원익IPS(240810)+2.81%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반도체 제조는 크게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나뉘며, 전공정은 노광(Photo) - 증착(Deposition) - 식각(Etching)의 과정을 거침. 반도체 전공정은 고도의 화학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고부가가치 산업.
노광공정은 웨이퍼에 감광액을 도포해 노광장비로 빛을 가해 회로 패턴을 새기는 것을 의미(회로)하며, 증착공정은 물리적·화학적 방법을 통해서 웨이퍼에 전기적 특성을 갖는 분자 또는 원자단위의 물질을 입히는 것을 뜻함(박막). 식각공정은 플라즈마 상태에서 특수한 가스를 주입해 불필요한 회로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세정하는 것(세정).
반도체 전공정 장비는 제조 공정(노광 - 증착 - 식각)과 필요한 장비를 의미.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의 실적은 반도체 제조사의 투자 계획에 따라 전공정 장비 발주가 이어져 밀접한 연관. 노광장비(ASML)를 제외하고는 상당부분 국산화가 진행되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증설 시 장비 발주가 늘어나 수혜.
일본 경제산업성이 7월 4일자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3개 품목, 반도체 공정에서 빛을 인식하는 감광재인 포토레지스트, 반도체 회로 식각에 사용하는 불화수소,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OLED 제조에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해 수출 규제를 강화한 가운데 이어 한국을 화이트 국가 리스트에서 제외할 방침임을 표명함.
화이트 국가 지정 제외시 반도체, 첨단소재, 전자, 통신, 센서 등의 전략 물자와 군사 전용 우려가 있는 1,100여개 품목의 수입이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
특히 반도체 및 IT의 주요 핵심 소재 수입의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어 핵심 수입 소재 및 장비의 국산화가 가능한 종목들이 최근 주목을 받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마지막 업데이트 2019. 8. 2)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뉴파워프라즈마(144960)+7.61%반도체 식각공정 장비(플라즈마전원발생기) 제조사.
피에스케이(031980)+3.48%특수목적용 기계 제조업체로 분할 전 피에스케이㈜의 반도체 전공정(반도체칩 제조)장비 사업부문이 인적분할해 신설된 법인. 반도체 전공정 장비인 Dry Stip, Dry Cleaning 등을 판매중.
원익IPS(240810)+2.81%반도체 증착(Deposition)·식각(Etching)공정 메인장비 제조사.
에스티아이(039440)+2.75%반도체 증착·식각공정 장비(가스주입장비) 제조사.
엘오티베큠(083310)+2.41%반도체 증착·식각공정 장비(진공펌프) 제조사.
유니셈(036200)+2.24%반도체 증착·식각공정 장비(가스제거장비) 제조사.
주성엔지니어링(036930)+2.06%반도체 증착장비(CVD) 제조사.
제우스(079370)+1.62%반도체 증착·식각공정 장비(세정장비) 제조사.
테스(095610)+1.55%반도체 증착(Deposition)·식각(Etching)공정 메인장비 제조사.
피에스케이홀딩스+1.51%반도체 증착장비(CVD) 제조사.
유진테크(084370)-0.31%반도체 증착장비(CVD) 제조사.

반도체 - 전공정 장비 테마 차트



조선비즈

1개월 등락률 -28.2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주 등락률 +4.88%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C-Biz봇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