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코로나 확산, 유가 하락에 상반기 수출 비상... 전문가들 "4월부터 본격 추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월 이후부터 對미국·EU 수출 급감 예상
반도체 등 IT 수요 증가는 일회성 그칠 듯
올해 수출 반등 전망치 실현도 불투명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수출 부진이 올 상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해 연말 바닥을 찍고 올해는 수출이 반등할 것이라는 정부의 전망이 실현될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정부는 지난해말 올해 수출 증가 전망치를 3%로 잡았다. 지난해 연간 수출규모(5422억달러)보다 162억6600만달러가량 올해 수출이 늘어나 연간 5584억6600만달러의 수출이 달성될 것으로 본 것이다.

정부는 이 전망치를 아직 유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미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미국, 유럽 등 우리의 주요 수출국이 코로나 19 확산으로 국경의 빗장을 잠그는 상황이어서 4월 이후의 수출 전망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렵다고 했다. 특히 저유가 상황까지 수출 환경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어 수출 악재가 겹겹이 쌓이고 있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수출 부가가치를 높이는 ‘질(質)적 개선’에 정책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조선비즈

부산항 신선대 부두 컨테이너 장치장. / 김동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세계 수요급감 영향, 이제부터 시작

전문가들은 최소 2분기(4~6월)까지 수출 지표가 악화일로를 향해 갈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한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세계 각국의 수출 수요와 생산이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3월에 수출이 늘어난 미국(전년대비 17.3% 증가)과 EU(10.0%) 시장도 4월부터 코로나 19의 영향을 본격적으로 받아 수출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미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18만명을 넘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를 보유한 국가가 됐고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주요 EU회원국도 코로나 19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상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국내 수출의 1, 2월 실적을 합해서 계산하면 전년동기보다 평균 0.9%정도 감소한 수준인데 이는 코로나 사태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된 것은 아니다"며 "이전에 계약해 놓은 물량 등으로 수출이 어느 정도는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인데 4월부터는 마이너스 폭이 점점 크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3월 중순 전까지는 중국과 한국 등 일부 국가만 코로나 사태의 영향을 받는 상황이었는데 3월 중순부터는 유럽이나 미국 등에 본격적으로 전염병이 퍼졌고 이런 영향은 4월 이후의 국내 수출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고 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글로벌 시장의 수요 위축이 불가피한 상태기 때문에 수출이든 수입이든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앞으로 최소 1~2개월인 4, 5월 수출입 실적이 전반적으로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유가 여파까지 겹악재, 수출 목표 달성 어려울 듯

국제유가가 배럴 당 20달러 수준까지 떨어진 것도 수출의 대형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 산유국의 증산 치킨게임으로 올해 초 배럴 당 60달러 전후였던 국제 유가는 현재는 20달러 안팎으로 급락한 상태다. 이런 상황은 국내 주력 수출품목인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단가를 떨어뜨리고 건설, 조선, 중공업 업계의 수주에 타격을 줄 수 있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저유가 상황이 지속되는 것은 전세계 경기침체의 신호탄이 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생산과 투자를 줄일 것이고 수출도 당연히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원 실장은 "유가하락으로 국내 주요 수출품목인 석유화학제품의 수출단가가 하락하고 이게 장기적으로 국내 수출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상반기(1~6월) 중 수출이 회복세로 돌아설 것이란 정부의 기대는 쉽게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정부는 2018년 12월부터 미·중 무역전쟁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전년동기보다 하락세를 이어가자 올해 상반기에는 회복세로 돌아설 수 있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지난 1월까지 1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수출은 15개월만인 2월에 전년동기보다 4.5% 증가했지만 한 달 만인 3월 다시 0.2%하락으로 돌아섰다.

◇"量적인 수출 증가보다는 質적 개선 추구해야"

전문가들은 ‘수출 반등’을 전제로 만든 정부의 경제정책 기본틀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한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유럽 등지에서는 이동 자체를 제한하고 있어 세계 경제의 성장률 전체가 상반기 중 마이너스로 갈 수 있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수출 회복 시기를 언급하는 것 자체가 무리라고 본다"면서 "수출 규모를 늘리는 대책보다는 고부가가치 품목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 역량을 집중하는 게 효율적인 것 같다"고 말했다.

반도체 등 몇몇 주력 품목에만 의존하는 수출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의 ‘반도체 중심 수출구조’로는 수출을 통한 고용 확대, 경제활력 회복 등 선순환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코로나 사태가 없었더라면 올해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작년보다 회복될 수는 있었겠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고용 등 실물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지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2017년과 2018년에도 반도체 수출은 호황이었지만 고용 등 실물지표가 좋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반도체 수출에만 의존하는 산업구조를 개혁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한다"고 했다.

세종=정해용 기자(jh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