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전남도 "방사광 가속기 선정기준 잘못 됐다" 강력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용역결과 무시, 지자체 의견수렴 없이 특정지역 선정위한 기준"

광주CBS 김삼헌 기자

노컷뉴스

방사광 가속기 조감도(전남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가 '2020 전남도정 3대 핵심과제'로 선정해 추진 중인 4세대 방사광 가속기 선정기준과 배점이 전남에 불리하게 설정됐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3월 27일 4세대 방사광 가속기 공모 계획을 통해 오는 2022년부터 2027년까지 8천억 원을 투입해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구축하고 2028년부터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과기부는 4월 8일 유치의향서를, 4월 29일 유치계획서를 접수해 5월 6일 발표 평가, 5월 7일 현장 확인을 거쳐 후보지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방사광 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시켜 발생하는 X-선을 이용해 물질의 기본 입자를 분석하고 관찰하는 초정밀 대형 연구시설로, 인천 송도와 충북 오창, 강원 춘천, 경북 포항, 전남 나주 등 5개 지자체가 치열한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

과기부가 밝힌 펑가기준에 따르면 시설 접근성과 편의성, 인근 배후도시의 정주여건, 현 자원의 활용 가능성 등 입지조건에 가장 많은 50점을, 부지면적과 진입로, 전력 인입선 등 기본요건에 25점, 지원계획의 적절성,확실성, 의지와 능력 등 지자체 지원에 25점을 배정했다.

전라남도는 과기부가 가장 많은 점수를 할애한 입지조건은 방사광가속기를 충북에 배정하기 위한 짜놓은 각본이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인근 배후도시의 정주여건 중 선택된 배후도시의 인구 수의 경우 전남 나주는 7만명에 불과한 반면 충북 오송은 85만명으로 비교가 되지 않고 접근성과 편의성도 연구기간이 긴 방사광 가속기 관련 연구 특성과는 맞지 않다는 입장이다.

또 현 자원의 활용 가능성 부분도 전력과 관련한 산업이 이제서야 클러스터화되고 있는 나주를 배제하고 이미 바이오에 특화돼 있는 충북 오송의 손을 들어줄 수밖에 없는 기준이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과기부는 지난 3월 인천과 강원, 충북과 전남을 비롯해 원자력연구원과 기초과학지원연구원, 가속기 이용 관련자 33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가속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가장 필요한 사항에 대한 질문에 접근 편의성이 가장 낮은 8.6%의 응답을 얻은 용역결과를 반영하지 않고 오히려 배점을 50점이나 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부는 지난 30일 가진 온라인 사업설명회에서 충북을 제외한 다른 4개 지자체의 이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반영이 어렵다는 입장만 되풀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