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미국 코로나19 사망자 1만명 넘겨…12일 만에 10배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려 숨진 사람이 1만명을 넘어섰습니다.

미 존스홉킨스대학은 현지시간으로 오늘(6일) 오후 2시 45분 기준 미국의 코로나19 감염 사망자를 1만389명으로 집계했습니다.

2월 29일 미국에서 첫 코로나19 사망자가 나온 지 37일 만이고, 사망자가 1천명을 넘긴 때(3월 25일)로부터 12일 만에 10배로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사망자는 이탈리아(1만6천523명)와 스페인(1만3천169명)에 이어 3번째로 많은 것이자,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7만3천703명)의 7분의 1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미국의 코로나19 감염자도 빠르게 늘며 35만2천546명으로 올라섰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확진자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스페인(13만5천32명)이나 이탈리아(13만2천547명)보다 2배 이상 많은 숫자입니다.

또 미국의 코로나19 환자는 전 세계 확진자(132만4천907명)의 약 4분의 1에 달합니다.

다만 뉴욕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가파르게 치솟던 코로나19 사망자와 입원 환자 수가 줄기 시작하면서 정점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조심스레 나옵니다.

미국 내 코로나19의 최대 확산지인 뉴욕주의 앤드루 쿠오모 주지사는 이날 브리핑에서 신규 입원 환자와 중환자실(ICU) 입실자가 모두 감소하고 있다며 "이는 좋은 신호들"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뉴욕의 코로나19 감염률이 낮아지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작동한다는 뜻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코로나19 환자는 계속 증가해 13만68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망자는 4천159명이었습니다.

짐 멀래트래스 뉴욕주립대(SUNY) 엠파이어스테이트 칼리지 총장도 브리핑에서 새로운 예측 모델이 종전보다 낮은 환자 수를 예상했다며 "이는 어쩌면 우리가 지금 정점에 있거나 정점에 도달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쿠오모 주지사는 그러면서도 필수적이지 않은 사업체·점포의 휴점과 학교 휴교 조치를 이달 29일까지 연장했습니다. 또 사회적 거리 두기 명령을 위반한 사람에 대한 벌금 상한선을 500달러에서 1천달러로 올렸습니다.

그는 경찰 등 법 집행기관이 더 엄격하게 사회적 거리 두기를 집행하기를 원한다며 "이는 당신의 생명에 관한 것이 아니다. 당신은 다른 사람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권리를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미 보건복지부(HHS) 브렛 지로어 보건 차관보는 이날 NBC 방송에 나와 "우리의 모든 예측, 모든 (전망) 모델, 우리가 본 데이터와 얘기 나눈 의료 종사자들로부터 우리가 아는 것은 뉴욕과 뉴저지, 디트로이트는 이번 주가 (코로나19로 인한 입원자와 사망자가) 정점이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의료 물자·장비 부족에 대한 호소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레천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는 이날 일부 병원이나 의료법인에서 3∼4일이면 마스크·장갑 등 의료용 개인보호장비(PPE)가 동날 상황이라면서 "우리는 개인보호장비가 위험할 정도로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주가 보유한 인공호흡기 500개를 국가전략비축량(SNS)에 빌려준다고 밝혔습니다. 뉴섬 주지사는 "인공호흡기 확보에 목숨이 달린 미국인들을 외면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승무원들을 코로나19로부터 지키려는 구명 활동을 벌이다 함장이 경질된 핵 추진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스벨트호(號)에서는 승무원 중 173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미 해군이 밝혔습니다.

크루즈선이나 항공모함 등 대형 선박을 통한 코로나19 전파가 잇따르는 가운데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크루즈선 승객들에게 새로운 지침을 내놨습니다. 크루즈 여행을 마친 뒤 집으로 갈 때 전세기나 개인 교통수단을 이용하고 귀가한 뒤에는 의무적으로 14일간 격리하라는 것입니다.

또 미 육군은 신규 훈련생들의 기초 군사훈련장 입소를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육군은 2주 뒤 훈련 재개 여부를 재검토할 예정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