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대기업 계열 여전채는 패싱?…채안펀드 매입범위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2일부터 가동을 시작한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를 통한 채권 매입 범위를 둘러싸고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들과 정부 간 시각차가 지속되고 있다.

금융위가 금융그룹·대기업 계열 여전사들에는 그룹 차원에서 지원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우선 자체 조달할 것을 주문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금융당국 관계자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채안펀드 매입을 희망하는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와 관련한 수요조사를 마무리한 상태다. 여전사들이 매입을 원하는 여전채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를 미리 파악하기 위한 사전적 절차다. 채안펀드는 차환이 급한 여전채 상환금액 절반까지 매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상당수 여전사들이 채안펀드의 여전채 매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채안펀드가 금융그룹·대기업 계열 여전사들이 발행한 여전채를 매입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두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그룹·대기업 계열 여전사들은 자금 사정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그룹 차원에서 자금을 자체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게 금융당국 인식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금융그룹·대기업 계열 여전사 가운데서는 불만 섞인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한 여전사 관계자는 "적기에 자금을 투입하는 것이 중요한데 시기를 놓칠 수 있다"며 "금융그룹들도 채안펀드·증권시장안정펀드 등을 조성하면서 자금 상황이 여의치 않은데 금융그룹 계열이라고 해서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최승진 기자 / 이새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