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中, 미 해군 코로나19 대응 혼란 속 남중국해 작전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군 준비태세 약화 판단으로 훈련 강화 등 대담한 행동 나서

뉴시스

[마닐라=AP/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집단 감염을 우려하며 승조원의 빠른 하선을 요청한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함장이 해임됐다. 토머스 모들리 미 해군장관 대행은 2일(현지시간) 선내 상황을 해군 상부가 파악하기도 전에 언론으로 흘러들어가게 한 책임을 물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2018년 4월 필리핀 마닐라만에서 촬영한 루스벨트 함정. 2020.4.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유세진 기자 =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스벨트호에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 미 해군이 코로나19 처리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작전을 강화하고 있다고 미 CNN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일주일 동안 중국 인민해방군 홈페이지에는 대규모 해상훈련과 베트남 어선 침몰 사건 관련 소식들이 올라왔다. 또 코로나19의 최초 발원지인 우한(武漢)에서 군사산업 활동이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루스벨트호의 함장 브렛 크로지어는 지난주 승무원 보호를 호소했다가 함장 직위를 박탈당했고 미 해군장관 대행 토머스 모들리는 크로지어 함장을 공개 비난했다가 사임했다. 또 다른 항모 로널드 레이건호에서도 코로나19가 발생했다. 미 현역 군인들 가운데 1500명이 넘는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하자 미 국방부는 전 세계 미군 시설 간 병력 이동을 중지하고 신병 기본훈련을 연기하고 훈련을 취소하는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에 나섰다.

조너선 호프만 미 국방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지난주 "완전한 작전 능력을 가능한 한 빨리 회복하기 위해 매일 위험을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남중국해의 경우 비록 아주 짧은 기간이라 하더라도 중국은 미군의 공백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미 태평양사령부 합동정보센터 작전국장을 지낸 칼 슈스터 전 미 해군 대위는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코로나19가 미 해군에 제가한 도전을 악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남중국해 거의 전역을 자국의 영토로 주장하고 있다. 미국은 오래 전부터 군사시설 건설을 통해 남중국해의 섬들을 군사화시키고 있다고 비난해 왔다.

한편 지난 2일 남중국해 북쪽 파라셀제도(중국명 시사西沙군도) 인근 해상에서 베트남 어선 1척이 중국 해경선과 충돌 후 침몰했다. 중국과 베트남 모두 이곳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국은 베트남 어선이 중국 해역에서 조업 중 이를 체포하려던 중국 해경 선박을 들이받은 후 침몰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베트남은 자국 어선이 합법적으로 조업하고 있었다며 침몰을 중국 탓으로 돌렸다.

슈스터 전 국장은 "미군이 베트남 어선 침몰에 대응하지 못하면 베트남은 미국에 동조하는 것이 쓸모가 있는지 재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지난 3일 코로나19로 미 해군의 아·태 지역 전함 배치 능력이 크게 저하됐다고 밝혔다. 실제로 미군의 가장 강력한 자산 중 하나인 핵추진 항공모함이 무기한 작전에서 제외됨에 따라 이를 대체할 뚜렷한 방안이 없는 것은 분명하다고 CNN은 지적했다.

슈스터 전 국장은 미군의 준비 태세가 코로나19로 영향을 받았다는 인식이 중국으로 하여금 지난달 남중국해에서 실시한 것과 같은 훈련을 더 많이 실시하게 만드는 등 보다 대담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btpwl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