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21대 총선 후보자들 “기후위기 심각한 수준”…환경단체 정책질의 결과 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환경단체들이 4·15 총선을 6일 앞두고 지역구 출마 후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후위기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에 응한 후보들은 기후위기 문제의 심각성에 공감하며 관련 정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9일 민주당, 통합당, 정의당(지지율 5% 이상 정당) 소속 후보자들 중 서울 지역구 후보자들 11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후위기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그린피스와 KBS와 함께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를 통해 지난달 6일부터 지난 6일까지 32일간 진행(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7.8%p)됐다. 조사 결과 112명 중 응답자는 66명이었는데, 민주당 40명, 미래통합당 16명, 정의당 10명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기후위기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느냐’의 질문에 대해 92.4%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답했고, ‘보통’이 3%, ‘심각하지 않은 수준’이라는 답은 4.6% 였다. ‘기후위기와 관련해 가장 책임있는 주체가 누구냐’는 질문에 대해선 ‘중앙정부’라는 응답이 80.3%로 가장 높았다. ‘정당, 국회 등 정치권’이라는 답은 59.1% 였다. 53%의 후보자들은 ‘대한민국이 기후위기와 관련해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203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전면 폐기’라는 목표에 동의한다는 응답은 97%였다. ‘한국이 2050년까지 탄소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 얼마나 동의하느냐’는 질문에는 95%가 동의한다고 밝혔다. 소속 정당과 관계없이 대체로 기후위기 문제가 심각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다만 주관식 질문이었던 ‘기후위기를 해결하는데 가장 큰 난관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에 대한 답은 소속 정당별에 따라 다르게 나오기도 했다. 민주당 이낙연 후보(서울 종로)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기후위기) 체감이 쉽지 않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과제라고 판단된다”고 답했다. 민주당 김성환 후보(서울 노원병)는 “친환경 조세체계로의 전환, 정부 세수 및 재정지출의 기후주류화,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들의 석탄금융 중단” 등을 과제로 꼽았다. 반면 미래통합당의 일부 후보들은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대해 지적했다. 미래통합당 안홍렬 후보(서울 강북을)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 재개 및 증설이 기후 온난화를 방지하는 최소의 방책”이라고 답했고, 같은 당 김성동(서울 마포을) 후보도 “정부의 탈원전 정책 추진으로 환경적,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답했다.

국내 환경·시민단체 연합인 기후위기비상행동도 이날 21대 총선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후위기 대응에 관한 정책질의 결과를 발표했다. 기후위기비상행동은 전국 지역구 후보자 669명을 대상으로 질의를 진행했다. 기후위기비상행동은 “전국 지역구별로 유력후보 3명과 지역 상황에 따라 조사 대상을 추가해 669명에게 질의를 했다”고 밝했다. 669명 중 응답자는 242명(응답률 36%)으로, 민주당 91명, 정의당 57명, 미래통합당 33명 등 순이었다. 기후위기 비상행동은 ‘국회의 기후비상선언 결의안 통과’, ‘기후위기대응법 제정’,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회 특별위원회 설치’, ‘예산편성, 법제도 개편 등을 통한 탈탄소사회로의 전환 기반 마련’ 등 4가지에 대해 동의 여부를 묻는 방식으로 질의를 진행했다. 응답자 242명 중 241명이 이 4가지 안 모두에 대해 동의한다고 밝혔다. 기후위기비상행동은 “국회 개원과 함께 스스로 동의한 기후위기 정책들이 반드시 실현될 수 있도록 책임을 다 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한솔 기자 hansol@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