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자가격리자 '가족감염' 우려 현실화…해외유입 2차전파 중 6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달 1일부터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의 2주간 격리가 의무화한 가운데 자가격리자의 '가족 간 감염' 우려가 현실이 됐습니다.

오늘(1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해외에서 유입된 코로나19 확진자로 인해 국내에서 벌어진 2차 전파 중 60%는 가족 간 감염입니다.

전날 0시 기준 해외 유입 사례(861명)와 관련한 국내 확진자는 134명으로 이 중 가족이 56.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개 감염병은 오랜 시간 한 공간에 머무르는 가족 간에 전파할 위험이 가장 큽니다. 주된 감염 경로인 비말(침방울)에 직접 노출될 뿐만 아니라 가족이 비말이 묻은 문고리, 책상 등 가구를 만지면서 손을 통해 감염될 위험도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가 국내 초기 환자 30명의 접촉자 2천370명을 분석한 논문에 따르면 '2차 감염' 위험은 가족 간 접촉에서 일반 접촉보다 42배 높았습니다. 접촉자 중 가족의 발병률은 7.56%, 가족이 아닌 접촉자의 발병률은 0.18%였습니다.

방역당국에서도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자가격리자에게 격리지침을 준수해달라고 수차례 당부해왔습니다.

격리지침을 지키지 않을 경우 1차적으로는 가족이 감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차적으로는 자가격리자로부터 감염된 가족들이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면서 코로나19를 전파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

지역사회로부터 격리되는 자가격리자와 달리 가족들은 외부 활동에 별다른 제약이 없습니다. 이들이 감염된 상태에서 회사에 출근하거나 종교활동을 하면 자칫 집단감염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은 자가격리자의 가족이 학교 등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집단시설에 근무한다면 스스로 업무를 제한해달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자가격리자로 인한 가족 간 감염, 이로 인한 지역사회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격리자 하나하나가 지침을 제대로 준수하는 게 최우선입니다.

만약 지침을 준수하기 어렵다면 아예 같은 공간에 머물기보다는 시설격리, 숙박업체 등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자가격리는 가족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시설격리를 해야 방역에 효과가 있다"며 "다만 4만명이 넘는 자가격리자들을 모두 시설에 격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 여러 아이디어를 짜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부 지자체는 자가격리 대상자의 가족에게 호텔을 할인해주는 방안 등을 내놨습니다.

경기 고양시, 충북 청주시 등은 일부 호텔과 안심숙소 이용 업무 협약을 맺고 자가격리자의 가족에 대한 숙박료를 할인해주기로 했습니다. 입국자는 본인 집에서, 가족들은 다른 숙소에서 각각 지내게 해 실질적인 자가격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입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장)는 "코로나19는 무증상 전파도 가능한데 당장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격리 대상자와 한 공간에 생활하는 가족이 접촉을 일절 하지 않는 건 사실상 어렵다"며 "숙박료 할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격리자와 가족이 생활하는 공간을 분리하는 게 가장 좋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