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소비심리와 경제상황

소비심리 금융위기 직후 수준으로 추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한고은 기자] [한은, 4월 소비자동향조사…경기침체 우려에 집값·임금 전망 악화]

머니투데이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그래픽=유정수 디자인기자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에 소비자심리지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수준으로 추락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4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4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대비 7.6포인트 하락한 70.8로 집계됐다. 4월 소비자심리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발발 직후인 2008년 12월(67.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하락폭은 3월(18.5포인트)에 비해 줄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장기평균치(2003년 1월~2019년 12월)를 기준(100)으로 100보다 크면 가계경제심리가 장기평균치보다 낙관적임을,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 지수를 합성해 산출한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 2월부터 3개월째 하락세다. 한은 관계자는 "4월 소비자심리자지수는 코로나19의 전세계적 확산 심화 등의 영향으로 경기 관련 지수와 가계 재정상황 관련 지수가 모두 악화되면서 전월대비 하락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주요지수 모두 하락했다.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현재경기판단CSI(31), 향후경기판단CSI(59)은 각각 전월대비 7포인트, 3포인트 하락했다.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현재생활형편CSI(77), 생활형편전망CSI(79)는 각각 전월대비 6포인트, 4포인트 떨어졌다.

가계수입전망CSI(83), 소비지출전망CSI(87)은 각각 전월대비 4포인트, 6포인트 하락했다.

현재경기판단CSI, 향후경기판단CSI, 생활형편전망CSI, 가계수입전망CSI 모두 2008년 12월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소비지출전망CSI는 2008년 7월 이후 가장 낮았다. 내구재, 의료비, 외식비, 여행비 등 세부항목 모두 전월대비 하락했다. 여행비(59)는 전월대비 8포인트 하락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코로나19발 경기침체 시작…집값·임금 전망도 우울

경기침체 우려가 높아지면서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아졌다.

주택가격전망CSI(96)는 전월대비 16포인트 급락했다. 2017년 8월과 같은 수준의 하락폭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2017년 8월은 8·2 부동산 대책이 발표됐던 때다.

임금수준전망CSI(102)도 전월대비 7포인트 하락했다. 임금이 올라도 오르는 폭은 크게 낮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기대인플레이션율(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 물가인식(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인식)은 각각 전월과 같은 1.8%, 1.7%를 나타냈다. .

이번 조사는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전국 도시 2500가구(응답 2342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고은 기자 doremi0@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