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화해 물꼬 튼 김여정·김영철, 이번엔 대남 강경 대응 주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남 실무책임 ‘통전부장’ 아닌

김여정·김영철이 총화회의 주재

김정은, 성과주의 강조 특성상

평창·정상회담 등 관여한 둘에

‘실패’ 규정한 2년 책임 맡긴 듯

김영철 통전부장 복귀 배제못해


한겨레

2018년 4월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시작됐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남쪽의 서훈 국가정보원장, 문재인 대통령, 임종석 남북정상회담준비위원장과 북쪽의 김영철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김정은 국무위원장, 김여정 당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판문점/한국공동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 <노동신문>은 “8일 대남사업부서들의 사업총화회의”에서 “북남 사이 모든 통신연락선 완전 차단” 조처를 지시한 주체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김영철 동지와 당중앙위 제1부부장 김여정 동지”라고 9일 보도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대북전단 문제를 고리로 한, 최근 북쪽의 대남 몰아붙이기의 기폭제가 된 4일 담화의 주체다. 여기에 1989~1992년 남북고위급회담 때부터 30년 넘게 대남사업에 깊이 관여해온 김영철 부위원장까지 다시 전면에 나선 셈이다.

‘김여정+김영철 조합’은 짚어볼 대목이 많다. ‘조국통일’을 국시로 내세운 북한에서 대남사업의 최고책임자는 유일무이한 “최고존엄”이자 “경애하는 최고영도자”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이고, 실무 책임자는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다. 따라서 대남사업부서 총화회의’는 통전부장이 주재해야 정상이다.

그런데 통일부가 9일 “통일전선부장은 장금철이라고 파악하고 있다”고 한 ‘장금철’은 <노동신문> 보도에 등장하지 않는다. “대남사업을 총괄”(5일 통전부 대변인 담화)하는 김여정 제1부부장이 실질적으로 대남 대응을 주도하더라도 권력구조상 회의 주재는 “통전부장 또는 직책상 그 위 급이 해야 한다”는 게 북한 권력구조에 정통한 전직 고위관계자의 지적이다. <노동신문>이 회의 주재자이자 지시자로 김여정 제1부부장 앞에 김영철 부위원장을 거명한 이유로 보인다. 전직 고위관계자는 “김영철 부위원장이 통전부장으로 복귀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쪽의 대남 강경 기조 전환의 주도자로 ‘김여정+김영철 조합’이 전면에 나선 사실을 다른 맥락에서 짚어볼 수도 있다. ‘김여정+김영철 조합’은 2018년 2월 평창겨울올림픽 고위급 대표단으로 남쪽에 와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하며 남북관계의 물꼬를 텄다. 2018년 4월27일, 5월26일, 9월18~20일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세차례 정상회담에 배석했다. 2018년 이후 남북 화해협력 기류에 깊이 관여한 김 위원장의 핵심 측근이다.

북쪽으로선 대남사업을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할 정도로 지난 2년을 ‘실패’로 규정한 만큼, 북쪽 체제 특성에 비춰 이 사태에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다. ‘김여정+김영철 조합’이 실패의 책임을 지고 전면에 나선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경험이 풍부한 한 원로 인사는 “김정은 위원장 리더십의 큰 특징은 ‘성과주의’라 통상적으론 김여정·김영철한테 책임을 물어야 하나, 김여정한테 그럴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는 ‘김여정+김영철 조합’이 남쪽을 향한 강력한 비방과 행동에 나서리라는 어두운 전망으로 이어진다.

다른 해석도 있다. 전직 고위관계자는 “김여정이 충성 경쟁을 하려고 전면에 나서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관계의 자율성을 높이는 쪽으로 결단을 내린다면 길이 열릴 여지가 없지 않다”고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뉴스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