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오늘의 외교 소식

외교부, '강제징용 왜곡 전시' 일본에 항의…대사 초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유산 등재 때 '징용 희생자 기리겠다' 약속 이행 촉구

연합뉴스

주한 일본 대사 초치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도미타 고지(富田浩司) 주한 일본 대사가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초치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일반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는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 역사를 왜곡하는 내용이 담긴 일본의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이날 일반에 공개했다. 2020.6.15 see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정부는 일본이 15일 메이지(明治) 시대 산업유산을 대중에게 소개하면서 한국인 강제징용 역사를 제대로 알리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에 대해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항의했다.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은 이날 오후 1시 52분께 외교부 청사로 도미타 고지 주한일본대사를 초치했다.

이 차관은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있는 산업유산정보센터에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역사를 왜곡한 전시가 포함된 것에 유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본이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 국제사회에 약속한 대로 강제노역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후속 조치를 성실히 이행할 것을 촉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정보센터는 201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일본의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 23곳을 소개하는데 여기에는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 7곳도 포함됐다.

일본은 당시 등재 과정에서 논란이 일자 일부 시설에서 한국인과 기타 국민이 자기 의사에 반하게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했다고 인정하고, 희생자들을 기리는 정보센터를 설치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날 일반에 공개된 정보센터는 일본의 산업화 성과를 자화자찬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으며, 강제징용 피해 자체를 부정하는 증언과 자료를 전시하는 등 당시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일본은 유네스코에 두차례 제출한 산업유산의 후속 조치 이행경과보고서에서도 한국인에 대한 강제노역을 인정하거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 등을 포함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도쿄 소재 '산업유산정보센터'에 소개된 군함도 생존자들
(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 = 도쿄특파원 공동취재단은 14일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설치된 '산업유산정보센터'를 방문했다. 이 센터에 소개된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생존자들. 2020.6.14 [산업유산정보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ojun@yna.co.kr



또 세계유산위원회가 2018년 6월 이 사안과 관련 '당사국간 대화'를 권고했음에도 일본은 한국 측의 지속적인 대화 요청에 응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올해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 문제가 논의되기를 기대하고 있는데 당초 오는 6월 29∼7월 9일로 예정됐던 세계유산위원회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연기됐다.

blueke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