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이슈 존 볼턴 회고록 파장

당청, '文중재자론' 직격탄 맞자 일제히 볼턴 때리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볼턴 회고록 파문] 文정부 "사실 왜곡" 총공세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與圈)은 22일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에 대해 총공세에 나섰다. 최근 북한의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폭파와 군사 위협이 예고된 상황에서,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 같은 악재(惡材)를 방치할 경우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볼턴 공격의 선봉에는 민주당 의원들이 섰다. 남북 및 미·북 정상회담 때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으로 실무 역할을 했던 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자신이 아는 것이 세상의 전부라고 믿는 착각과 오만에서 벗어나길 바란다"고 했다. 윤 의원은 "모든 사실을 일일이 공개해 반박하고 싶지만, 볼턴 전 보좌관과 같은 사람이 될 수는 없어 참는다. 할 말이 없어서 안 하는 게 아니다"라고 했다.

조선일보

작년 4월 백악관 회동 당시 -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회고록에서 밝힌 한국과 미국, 그리고 북한의 막후 협의 과정이 "사실을 크게 왜곡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2019년 4월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는 볼턴 전 보좌관과 정 실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의원은 미래통합당을 겨냥해 "대한민국 대통령과 정부의 말은 믿지 못하고, 자신의 책 판매에 혈안이 된 볼턴의 말은 믿느냐"고 했다. 민주당 김한정 의원은 "(볼턴이) 북·미 관계 개선을 전혀 바라지 않았고, 내심 파탄을 바랐다고 실토한 것"이라며 볼턴을 "허접한 매파"라고 했다. 김경협 의원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을 결렬시키기 위한 볼턴의 솔직한 고백, 이것이 미국 네오콘(보수 강경파)의 진심"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 '네오콘'들에 대해 "무기 장사들"이라고도 했다.

청와대는 볼턴 전 보좌관이 미·북 정상회담을 '한국 정부의 창조물'이라고 했다는 소식이 처음 알려졌을 때만 해도 "출간되지 않은 내용에 대해 대응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날은 볼턴의 '카운터 파트'였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실명 입장문을 통해 직접 대응에 나섰다.

청와대는 볼턴 전 보좌관이 작년 6월 판문점 미·북 정상회동 때 서울이 아닌 몽골에 있었다는 '약점'까지 공격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볼턴 주장의 사실 여부를 묻자 "작년 6월 판문점 회동 당시 보도를 살펴보면 볼턴 전 보좌관의 역할이 뭐였는지는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대응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볼턴이 회고록에서 문 대통령의 비핵화 구상을 "조현병적(schizophrenic) 아이디어"라고 한 데 대해 "볼턴이 그럴 수 있는 것 아닌가 싶다"고도 했다.

작년 6월 판문점 회동을 두고는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과 당시 청와대의 설명이 크게 엇갈린다. 볼턴은 판문점 회동 때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모두 문 대통령의 참석을 원치 않았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판문점 회동 당일인 6월 30일 기자회견에서 "오늘 나도 판문점에 초대받았다"고 했다. 청와대는 당시 누가 초대했는지에 대한 물음에 "알지 못한다"고 했지만, 김정은이 문 대통령의 손을 잡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강조했다. 볼턴 전 보좌관과 청와대 중 한쪽은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청와대 설명과 볼턴 회고록 내용이 일치하는 부분도 있다. 남북 정상 간 '핫라인'에 대해 청와대는 그동안 "확인해 줄 수 없다"고 했고, 볼턴 전 보좌관도 문 대통령이 핫라인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당시 공식 회의에서 판문점 회동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파격적 제안과 김정은 위원장의 과감한 호응으로 이뤄졌다"고 했다. 볼턴 전 보좌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독단적인 '깜짝 제안'이라고 했다.



[정우상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