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인도 '틱톡' 중국 앱 대거 사용금지…온라인으로 번진 갈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에서 지난 24일 반중 시위대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에 불매운동 표시를 더한 현수막을 들고 있다. 아마다바드=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과 국경 문제로 갈등이 고조한 인도에서 틱톡, 위챗 등 중국 대표 애플리케이션(앱) 사용이 금지됐다. 표면적으로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들었으나 국경 문제에서 비롯한 양국 갈등이 온라인 공간으로 번진 것으로 보인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전자정보기술부는 29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중국산 앱 59개에 대해 인도의 주권, 안보, 공공질서 침해를 이유로 사용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성명에서는 "(이들 앱이) 안드로이드와 iOS 플랫폼에서 승인받지 않은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인도 밖 서버로 무단 전송한다는 민원이 수 차례 접수됐다"고 설명했다. 모바일과 인터넷을 이용하는 수십억명의 자국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덧붙였다. 다만 금지령 발효시점은 명확하지 않다.

이번 조치로 중국 IT(정보기술)업계는 작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13억5,000만명이 넘는 인도 시장을 놓치는 셈이기 때문이다. 인도 내 틱톡 사용자는 1억2,000만명으로 추정된다고 AFP는 보도했다. 앞서 인도 정부는 5G(세대) 통신망 구축사업에서도 화웨이, ZTE 등 중국 기업을 배제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조치의 근본 원인은 중국과의 국경 분쟁이라고 보도했다. 인도군과 중국군이 지난 15일 히말라야산맥 국경에서 물리적 충돌을 빚으면서 인도군 20여명이 사망했다. 국경분쟁으로 사상자가 발생한 것은 45년 만에 처음이다. 이 사건 이후 반중 정서는 심화했다. 중국산 불매운동은 물론이고 인도 전역에서 시위대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사진이나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불태우는 등 거리 시위도 계속되고 있다.

진달래 기자 aza@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