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정부, 흩어진 바이오 연구 데이터 한데 모은다… ‘데이터 스테이션’ 조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10개 부처 공동 마련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 발표
바이오 소재 자립화·병원균 수입 규제 완화·BSL3 실험실 확충 등 방안 마련

조선비즈

정부가 내년까지 조성하기로 한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개념도./과기정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유전자·임상·의료영상 등 국가 바이오 연구개발(R&D)을 통해 나온 모든 데이터(바이오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활용할 수 있는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내년까지 조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제9차 회의에서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은 과기정통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바이오 연구의 활성화를 목표로 보건복지부·산업통상자원부·식품의약품안전처 등 9개 부처와 함께 마련했다.

이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부처·사업·연구자별로 흩어져 있는 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통합·수집·제공하는 플랫폼인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내년까지 조성한다. 신약 개발 등의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 데이터를 스테이션에 공유하는 연구기관에게는 데이터 보존공간과 전산 인프라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될 방침이다. 데이터 수집과 제공을 관리하기 위해 ‘국가생명연구자원 수집·관리 표준지침’도 마련된다.

정부는 인체유래물·병원체·실험동물 등을 관리하는 274개의 소재자원은행을 구조조정하고 줄기세포·뇌·미생물 등 14개 분야별 소재 클러스터로 재편한다. 책임 부처가 다른 여러 소재자원은행들이 비슷한 분야의 소재를 중복 관리하던 비효율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다.

조선비즈

14개 바이오 소재 클러스터./과기정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감염병 유행 시 신약 개발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해외의존도가 높은 바이오 소재를 자립화할 방침이다. 또 연구에 필요한 병원균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법적 규제 등을 유권해석을 통해 완화하기로 했다.

감염성 바이러스를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생물안전3등급(BSL3) 실험실을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이번 대책을 통해 백신과 신약 개발 등 바이오 연구에 필요한 필수 자원 자립기반을 마련해 향후 코로나19 등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발빠른 대응과 바이오 R&D 수준 고도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과기정통부 제공



김윤수 기자(kysm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