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CJ ENM “프로그램 사용료 20% 더 내라” vs. 딜라이브 “이기적 발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CJ ENM이 케이블TV 등 유료방송 사업자에 최대 30%의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을 요구한 가운데 특히 송출 중단까지 통보한 딜라이브와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CJ ENM 측은 최근 인터넷TV(IPTV)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플랫폼에 프로그램 사용료를 전년대비 약 15%~30% 인상해달라는 공문을 각각 보냈다. 프로그램 사용료는 CJ ENM과 같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가 유료방송사로부터 수신료 명목으로 받는 비용이다.

현재 CJ ENM과 가장 큰 갈등을 빚는 곳은 딜라이브다. 딜라이브는 CJ ENM으로부터 프로그램 사용료 20% 인상안을 받았지만 이달까지 협상이 원활하지 않았다. 이에 CJ ENM은 지난달 17일 공문을 통해 자사 채널 13개(CH.DIA, M-Net, OCN, OCN Movies, OCN Thrills, OGN, O tvN, tvN, X tvN, 온스타일, 올리브, 중화TV, 투니버스)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한 상태다.

딜라이브는 'CJ ENM은 딜라이브의 전체 프로그램 사용료 지출의 약 25% 비중을 차지한다'면서 '통상적인 인상률을 봤을 때 20% 인상요구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케이블 시장의 매출부진과 최근 프로그램 사용료 증가세는 외면하고 일방적으로 자신의 이익 추구를 위한 무리한 인상을 요구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정된 프로그램수신료 지급 규모지만 함께 공생해야 할 중소 PP의 몫까지 독차지하겠다는 이기적 발상'이라며 '채널송출 중단에 따른 시청자 피해를 볼모로 하는 벼랑끝 전술은 미디어 관련업계가 절대 취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딜라이브 측은 CJ ENM의 채널중단 통보에 대해 자사가 CJ오쇼핑과 빚고 있는 송출수수료 분쟁과 무관하지 않다고 해석하고 있다. 앞서 CJ오쇼핑은 지난해 7월부터 딜라이브에 지불하고 있는 홈쇼핑 송출수수료를 일방적으로 20% 낮춰 지급해오고 있었다는 것. 이에 딜라이브가 CJ ENM에 대한 프로그램 사용료에서 CJ오쇼핑이 미지급한 금액을 제외하고 상계해 지불한 것이 발단이 됐다는 해석이다.

반면 CJ ENM 측은 지난 4년간 프로그램 사용료 동결분이 이번 인상안에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CJ ENM은 '그간 유료방송 플랫폼들은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사용료는 꾸준히 인상해왔지만 ENM에는 최근 4년간 사용료 동결을 요구했다'면서 '이번 인상건에 대해서도 실무진 이상의 협상에 딜라이브가 응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CJ ENM은 CJ오쇼핑과 2018년 합병하긴 했지만 경영진도 독립된 상황에서 각각의 송출수수료나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은 별개로 진행되고 있다'면서 '딜라이브의 CJ오쇼핑과의 갈등은 자사와 전혀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딜라이브는 '콘텐츠의 합리적 대가 산정을 위해 노력하고 아울러 시청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권하영 기자>kwonhy@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