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하현회 LGU+ 대표, 90년대생과 소통 “신입직원 이해해야 기업이 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하현회 대표와 LG유플러스 임원들이 90년대생 신입직원과 소통 확대에 나섰다. 젊은 세대를 이해해야 기업이 생존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들은 향후 조직을 이끌고 주요 사업을 도맡을 구성원이자, 미래산업 주요 고객을 대표한다, 이에 LG유플러스는 90년생에게 배움을 얻을 수 있도록 신입직원이 대표와 임원에게 멘토링을 제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LG유플러스(대표 하현회)는 대표와 임원들이 평균 연령 27세 1990년대생 신입사원을 멘토 삼아 밀레니얼 세대와 소통하는 '리버스 멘토링' 프로그램을 확대해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올해에는 지난 5월말 리버스 멘토링을 시작했다. 하현회 대표를 비롯해 전략, 서비스개발, 기업, 네트워크 등 전사 각 부문 임원 10명이 멘티로 참여해 20명 신입사원 멘토 지원자와 매칭된다. '요즘 세대' 관련 주제에 대해 사내는 물론 멘토가 지정한 사외장소에서 격의 없이 대화하는 방식으로 이달 말까지 진행된다.

'MZ세대 언어와 소통방법', 'MZ세대의 플랫폼', '요즘 세대 직업관과 회사 제도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등 신입사원이 직접 선정한 관심사로 멘토링이 이뤄진다.

LG유플러스 전체 직원 1만700여명 중 1980년 이후 출생자는 60%가 넘고 1990년대생은 21%로 해마다 늘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처음으로 임원 리버스 멘토링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회사 경영진과 구성원 간 원활한 소통과 MZ세대 고객 인사이트 발굴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참여를 원하거나 구성원 연령대가 낮은 조직을 이끄는 임원의 경우, 추천을 받아 멘티로 선정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회사 차원에서 신입사원 멘토들과 워크숍을 열어 멘토링 내용과 결과를 공유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지난해 리버스 멘토링에서는 '요즘 것들의 취업준비', '물어보면 꼰대 되는 질문', '트렌디한 패션 코디네이팅' 등 신입사원이 꼽은 주제별로 13명의 임원이 매칭돼 멘토링이 진행됐다. 운영 결과 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하자는 의견이 많았고, 이에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연간 1회(4회차로 구성) 진행했던 리버스 멘토링을 올해 상반기와 하반기 두 차례로 늘려 실시하기로 했다.

이달 말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하 대표는 리버스 멘토링 모습을 영상으로 공개해 임직원간 소통 문화 조성에 최고경영자(CEO)가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밝힐 계획이다.

LG유플러스 최고인사책임자 양효석 상무는 '5G 등 미래 산업 주요 고객이면서 LG유플러스를 이끌어갈 주역인 90년대생 신입사원을 리더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수용해야 조직과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생각에서 리버스 멘토링을 도입했다'며 '멘토링에서 얻은 아이디어는 조직 케어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