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KARI,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00t 엔진, 하반기 연소시험 돌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오는 8월 75t급 엔진 4개를 묶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300t급 1단부 성능을 평가하는 '수류시험'을 마치고 하반기에 연소시험에 돌입한다.

조상연 KARI 발사체보증팀장은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지난 3일 서울 광화문에서 개최한 제1회 항공우주아카데미에서 '독자 개발 누리호와 미래 발사체 개발' 발표를 통해 이같이 설명했다.

조 팀장은 "75t급 엔진 4개를 클러스터링한 누리호 로켓 1단의 인증모델(QM)을 만들어 하반기에 연소시험을 할 예정"이라며 "조립한 발사체를 발사대에 세워 통신 연결과 추진제 충전 등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시험도 진행한다"고 말했다.

누리호는 설계·제작·시험·발사까지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우주발사체로, 내년 2월과 10월 두 번에 걸쳐 진행될 시험 발사를 앞두고 있다.

1.5t 탑재체를 고도 600~800㎞의 태양동기궤도에 올려놓는 것을 목표로 한 3단 로켓으로 길이가 47.2m, 중량은 약 200t에 달한다. 로켓 1단은 75t급 액체엔진 4개 묶음(clustering)으로 300t급이며, 2단은 75t급 액체엔진 1기, 3단은 7t급 액체엔진이다.

올 하반기에 진행될 '클러스터링'에 대해 조 팀장은 "국내에서 해본 적이 없어 우리가 '기술적으로 넘어야 하는 산'"이라며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예상하고 분석하지만, 직접 부딪치면서 문제를 풀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항우연은 클러스터링한 누리호 인증모델을 조립해 하나의 발사체로 만들고 발사대에서 시험하는 발사대 검증시험이 끝나면 누리호 비행모델을 발사대에 올려 실제 발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조 팀장은 "한국형 발사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두 차례의 누리호 발사 이후에도 한국형 발사체를 4회 발사할 계획"이라며 "누리호의 기술을 이전하기 위한 기술이전 체제를 수립하고, 개량형 한국형발사체를 민관 공동으로 연구·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