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한국도 버려진 인공위성 등 ‘우주쓰레기’ 감축에 나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2개 부처 합동 ‘경감’ 안건 처리

향후 3년간 우주개발 계획도 확정

[경향신문]

버려진 인공위성 등의 ‘우주쓰레기’를 줄일 대책이 우리 정부 차원에서도 추진된다.

정부는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34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우주비행체 개발 및 운용 권고’ 안건을 처리했다. 우주쓰레기란 임무가 끝났거나 고장이 난 인공위성, 위성끼리 충돌하며 생긴 파편, 로켓에서 떨어진 부산물 등 지구 궤도를 떠도는 인공 물체들이다. 현재 지름 1㎝ 이상만 90만여개에 이르며 총탄의 최고 10배 속도로 지구 궤도를 돌아 위성이나 우주인에게 중대한 위협이 된다. 국제우주정거장(ISS)도 우주쓰레기를 피하려고 수차례 긴급 기동을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권고안은 2007년 유엔이 채택한 ‘우주쓰레기 경감 가이드라인’을 준용했으며 국내에서 개발하는 모든 우주비행체에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권고안은 동체가 부서질 가능성이 최소화되도록 우주비행체를 설계하고, 우주에서 충돌이 예상될 때 회피 기동할 수 있는 장비를 탑재하도록 규정했다. 특히 인공위성이 임무가 끝난 뒤 추력기를 가동해 붐비는 궤도를 벗어나도록 했다.정부가 권고안을 마련한 건 독자 발사체 개발에 나서는 등 한국의 우주기술 역량이 최근 높아졌기 때문이다. 미국 등 20여개국은 이미 우주쓰레기 가이드라인을 지키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선 쓰레기를 그물로 포획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실무위원회에선 ‘향후 3년간(2020~2022년) 우주개발 계획’도 확정됐다. 한국형 발사체와 달 궤도선 개발을 지속하고,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도 2035년을 목표로 추진된다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