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이슈 5세대 이동통신

`적과의 동침`…통신 3사, 5G 기지국 공동 구축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신 3사가 전국 읍·면·리 등 외곽 지역의 5G망을 공동 구축한다. 통신 인프라스트럭처 투자를 통해 서비스 품질 경쟁을 펼쳐온 통신사가 5G망을 함께 구축하고 기지국 등을 공유하는 시도는 이례적이다. 5G 전국 망 구축에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신 업계 등에 따르면 통신 3사는 전국 읍·면·리 등 농어촌 외곽 지역의 5G망 공동 구축을 위한 검토에 들어갔다. 이를 위해 통신 3사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과기정통부와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인구 5% 이하인 전국 읍·면·리 면적이 전체 국토의 47%에 달한다"며 "정부와 통신사 간에 이 지역의 5G망 공동 구축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기지국이란 스마트폰 등 단말기와 음성·데이터를 전파로 주고받는 통신설비다. 철탑을 세울 공간이 부족한 도시에선 건물 옥상이나 내부에 안테나, 중계기 등 각종 장비를 설치한다.

치열한 5G 구축 경쟁을 벌이는 통신 3사가 '5G 기지국 동맹'을 맺는 것은 5G 주파수 특성 때문이다. 5G는 LTE(4G)보다 직진성이 강하고 도달 거리가 짧아 기지국을 더 촘촘히 구축해야 한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4G에선 기지국당 커버할 수 있는 범위가 반경 수 ㎞지만 5G에선 수백 m에 불과하다"며 "3.5㎓ 대역에서 5G 전국망 서비스를 하려면 기지국을 LTE의 최소 2배 이상 세워야 하고, 투자비도 덩달아 불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재 전국 5G 기지국 수(통신 3사 포함)는 12만1000개에 불과하며 앞으로도 더 많은 기지국을 세워야 한다.

통신 3사와 정부는 읍·면·리 등 외곽 지역에선 5G 인프라를 통신사 공동으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절약한 투자비를 통신량이 많은 서울과 6대 광역시에 투입할 계획이다. 이렇게 '선택과 집중'을 하면 5G 전국망 구축 속도가 빨라지고 통신 품질을 끌어올릴 수 있어 5G 사용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통신 3사는 최근 정부의 디지털 뉴딜 이행을 위해 2022년 상반기까지 5G 전국 망 구축을 목표로 25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5G 기지국을 함께 구축해 공동으로 이용하면 통신사는 네트워크 경쟁에서 벗어나 네이버·카카오처럼 플랫폼 개발 등 다양한 신사업 발굴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G 기지국 공동 구축엔 로밍 기술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통신 3사는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해 특정 통신사의 기지국이 피해를 입었을 때 다른 통신사 망을 통해 음성·문자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황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KT 기지국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스마트폰을 연결해준다. 공유경제처럼 통신 3사가 특정 기지국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셈이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통신사가 타사 기지국을 활용해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신민수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5G망 공동 구축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돕고 통신사의 사업 경쟁력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통신사의 5G망 공동 구축에 긍정적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통신사들과 기지국 공동 구축 범위 및 방식, 품질 평가 기준 등에 대해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에서도 5G 기지국을 공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일본 2·3위 통신사인 KDDI와 소프트뱅크는 지난 4월 지방에서 5G 기지국을 공동 설치하고 공유하기 위해 '5G JAPAN' 합작회사를 세웠다. 일본은 지난 3월부터 5G 상용화에 나섰지만 커버리지 확대가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두 회사가 5G 기지국 구축 기간을 단축하고 투자비를 절감하기 위해 손잡은 것이다. 오는 10월 5G 상용화에 나설 예정인 베트남에서도 최대 통신사업자인 비에텔(Viettel)을 비롯해 VNPT, 모비폰, G텔모바일 등 통신 4사가 최근 5G 기지국 1200개를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임영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