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한경연 "외환위기 때보다 국가채무비율 상승폭 커…3년 뒤 50%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외환위기와 세계 금융위기 때보다도 큰 폭으로 증가해 3년 후에 50%를 돌파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오늘(29일) 배포한 '재정적자가 국가채무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향후 전망' 자료에 따르면 올해 국가채무는 작년보다 111조4천억 원 늘어나 GDP 대비 비율은 작년보다 5.4%p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이는 1998년 외환위기나 2009년 금융위기보다도 큰 상승폭이라고 한경연은 분석했습니다.

외환위기 당시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1997년 11.4%에서 다음해 15.3%로 3.9%p(20조1천억 원) 늘어났고, 금융위기 때는 2008년 26.8%에서 다음해 29.8%로 3.0%p(50조6천억 원) 늘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충격을 받은 올해는 국가채무비율이 43.5%로 작년(38.1%)보다 5.4%p(111조4천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정부는 국가채무비율이 내년 46.2%, 2022년 49.9%, 2023년 51.7%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경연은 국가채무비율이 늘어나는 속도가 과거보다 훨씬 빨라졌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10%대(1997년)에서 20%대(2004년)로, 20%대에서 30%대(2011년)로 늘어나는 데 각각 7년이 걸렸고, 30%대에서 올해 40%대로 늘어나는 데는 9년이 걸렸습니다.

그러나 40%대에서 50%대(2023년)로 늘어나는 데는 불과 3년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경연은 또 GDP 대비 통합재정수지 적자 비율이 1%p 높아지면 국가채무비율은 0.6%p 상승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정부가 수입 대비 과다한 재정지출을 하면 국가채무비율이 늘어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명목 경제성장률이 1%p 높아지면 국가채무비율은 0.2%p 낮아졌습니다.

성장률이 높을수록 국가채무 수요가 감소하고 전체 GDP 규모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또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1%p 상승하면 국가채무비율은 0.4%p 낮아졌습니다.

금리 상승은 경기가 좋다는 지표일 뿐 아니라 금리가 높을수록 부채를 늘리려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경연은 분석했습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로 재정지출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도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핀셋재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또 "정부가 수입 범위 내에서 지출한다는 재정준칙을 법제화하고 준수해야 재정 지출이 경제에 주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더 깊은 인물 이야기 '그, 사람'
▶ SBS 뉴스, 네이버에서 편하게 받아보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