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 국가하천 수문·통문에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
![]() |
집중호우에 따른 하천 주변 농경지 침수 |
(의정부=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경기도가 집중호우 때 하천 수위를 실시간 확인하고 하천 수문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등의 시스템을 구축, 홍수피해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된다.
경기도는 2022년까지 17개 국가하천 수문·통문 627곳에 호우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고 29일 밝혔다.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은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상황실에서 하천 수위를 실시간 확인하고 수문 개폐를 자동화하는 등 국지성 집중호우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한 것이다.
그동안 하천 수문은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나 지역 주민이 수동으로 조작했다.
이에 시간적, 기상적 제약 등의 이유로 제때 개폐하지 못하면 농경지나 주택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 구축 대상은 한강, 임진강, 안성천, 오산천 등 17개 하천이다.
경기도는 국비 161억원을 확보해 2022년까지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시스템을 갖추면 지자체 종합상황실에서 CCTV로 수문 상태와 하천 수위를 실시간 확인하고, 필요하면 상황에 따라 자동·원격·현장 제어 등의 방식으로 수문을 조작해 수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고강수 경기도 하천과장은 "시스템이 구축되면 효율적으로 재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안전하고 스마트한 하천 관리 시스템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wyshi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