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이슈 대한민국에 떨어진 물폭탄

침수·붕괴 위험 미리 알린다…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체계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행안부, 올해 288억원 들여 170곳에 계측·경보 시스템 설치…총 2천500곳 대상

연합뉴스

산사태
지난해 10월 태풍 '미탁'이 몰고온 집중호우로 경북 울진군 매화면의 한 마을 뒷산이 무너져내려 주택과 차량을 덮친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호우·폭설·지진 등 자연재해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피해가 예상되면 주민들에게 미리 알리는 서비스가 시행된다.

행정안전부는 한국판 디지털 뉴딜 사업의 하나로 재해위험지역별 상황을 사전에 진단해 알려주는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체계(시스템)'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이 사업은 침수위험이 큰 저지대나 급경사지 등 붕괴 위험지역, 노후한 위험저수지 등 재해위험지역에 디지털 계측장비와 재난상황 전파 시스템 등을 설치하는 것이 골자다.

기후변화로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가 늘어나고, 지형 등에 따라 재해를 견딜 수 있는 기준이 다른 점 등을 고려해 지역 특성에 맞춘 관찰 장비로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이를 통해 재해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위험징후가 나타나면 조기경보 체계를 가동해 주민들이 미리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행안부는 우선 올해 3차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288억원으로 연말까지 재해위험지역 170곳에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내년 초부터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와 인공지능(AI) 스피커, 마을방송, 전광판 등으로 재해위험 경보를 받을 수 있다.

행안부는 내년 이후에도 매년 조기경보 시스템을 확대 설치해나갈 계획이다. 현재 전국에 재해위험지역으로 분류된 1만4천곳 가운데 정비가 이뤄지지 않아 위험도가 큰 2천500곳이 대상이다.

김계조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조기경보 체계 구축은 단발성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확대 추진하는 사업"이라며 "자연재해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최신기술을 최대한 활용해 대비하고 예측해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시스템 개념도
[행정안전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inishmor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