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 표적된 틱톡 “미국내 사업 완전 매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정부, MS와 인수 협상 반대

사용 금지 등 제재 검토 나서자

틱톡 모기업, 후속 조치로 내놔

중 매체 “개인정보 보호는 핑계”

화웨이 이은 첨단기업 탄압 비판

미-중 갈등 새로운 불씨로 부상


한겨레

짧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 틱톡의 로고. 미국의 압박이 강해지면서 중국 바이트댄스가 1일(현지시각) 틱톡의 미국내 서비스를 미국 기업에 완전히 넘기는 방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제2의 화웨이’로 삼고 공격하고 있는 틱톡이 미국내 사업 전체를 미국 기업에 넘기는 방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에 미국내 사업을 넘기되 일부 지분을 보유하는 협상안에 대해 미국 행정부가 거부 반응을 보인 데 따른 후속 조처다.

틱톡에 대한 미국의 공세에 대해 중국쪽에서는 중국 첨단기업에 대한 ‘의도적 탄압’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화웨이에 대한 제재가 하드웨어 분야에 대한 탄압이라면, 틱톡 압박은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공격이라는 게 중국의 시각이다. 이에 따라 틱톡 문제가 미중 대결의 새로운 불씨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로이터> 통신은 1일(현지시각)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을 완전히 매각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은 그의 틱톡 공격이 국가안보 때문인지, 단순 협상 전략인지 가늠하게 해줄 것이라고 보도했다.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미국내 사업을 완전히 넘기는 안을 내놓은 뒤 마이크로소프트 외 다른 기업과의 협상 여지도 열어놨다고 통신은 전했다. 또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을 매각하더라도 미국인 투자자들은 지분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틱톡의 외부 투자자 중 약 70%가 미국인이다.

백악관은 바이트댄스의 수정 제안을 트럼프 대통령이 수용할지 언급하지 않은 채 “미 행정부는 틱톡이 국가안보에 끼치는 악영향을 심각하게 우려한다”며 “미래 정책을 계속 평가할 것”이라고만 밝혔다.

앞서 7월31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내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등 다양한 제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트댄스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매각 협상과 관련해 “협상에 대해 들은 바 없다”며 “미국은 인수합병(M&A)의 나라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 저널>은 정통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매각 협상안에 반대함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가 협상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백악관이 매각 논의에 몇주째 관여해왔고 원하는 결과는 틱톡이 미국 소유가 되는 것이라고 전했다.

틱톡은 바이트댄스가 2017년 비디오앱 서비스 ‘뮤지컬리’를 10억달러에 인수한 뒤 새롭게 시작한 짧은 동영상 공유 소셜미디어 서비스이며, 미국내 이용자만 1억명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틱톡의 기업 가치는 최대 1000억달러(약 120조원)에 이를 걸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중국과 홍콩 보안법 문제 등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하면서 틱톡에 대한 공격도 강화해왔다. 미국 관리들은 미국 틱톡 이용자들의 민감한 정보가 중국 공산당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바이트댄스를 통해 중국 정부로 넘어가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백악관이 미국 기업의 틱톡 인수 문제에 직접 관여해왔다는 <월스트리트 저널> 보도 등이 암시하듯, 중국 기업의 미국내 사업을 억제하려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밑바탕에 깔려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경쟁 서비스를 곧 시작할 계획인 페이스북이 미국 정부에 틱톡 금지를 위한 로비를 벌인 게 아니냐는 추측을 틱톡 경영진 등이 사석에서 흘리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트댄스와 미국 기업간 인수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태도를 분명히 한 뒤에나 재개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가 미국 정부의 틱톡 포기 압박에 어떻게 반응할지도 인수 협상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틱톡 사용 전면 금지나 틱톡 미국 사업 매각 같은 조처는 근시안적인 정치적 억압일 뿐이며 미국 시장에 대한 기업의 신뢰를 저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터넷 매체 <펑파이>는 “미국이 명분으로 내세운 ‘개인정보 보호’ 등은 중국의 첨단기업을 탄압하기 위한 허울이자 핑계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미국 쪽에 틱톡을 매각하는 방안 외에도 아예 바이트댄스의 본사를 미국이나 영국으로 옮겨 논란의 여지를 없애자는 주장도 나온다”며 “하지만 바이트 댄스가 어떤 결정을 내려도, 미국은 이를 가로막고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틱톡은 대중과 시장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고 각국 소셜미디어 시장의 건강한 발전에 이바지했다”며 “미국은 중국 기업에 개방적이고 공정하며 차별없는 환경을 제공하고, 무역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라”고 촉구한 바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틱톡 사용금지 방침에 대해 많은 이용자들이 당황스러워하고 있다고 <시엔엔>(CNN)은 전했다. 2만5천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한 이용자는 틱톡 라이브방송을 통해 “모두가 기겁하고 있다. 만약 (틱톡 사용 금지가) 현실화하면 인스타그램에서 나를 팔로우해달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고 정치전문 매체 <더힐>은 전했다. 틱톡에 3천만명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한 19세 가수 베이비 애리얼은 “트럼프가 싫다”고 썼다. 1천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거느린 유튜브 스타 래리 메리트는 “트럼프가 흑인의 생명보다 틱톡 금지에 더 관심 있다니 흥미롭다”고 비꼬았다. 미국시민자유연합(ACLU)도 이날 “틱톡처럼 수많은 미국인이 소통을 위해 이용하는 앱을 금지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를 위협하고 기술적으로도 비현실적인 일”이라고 비판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베이징/ 정인환 특파원 marishin@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