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곧바로 일본 연결해보겠습니다.
윤설영 특파원, 일본제철 측의 반응이 있습니까?
[기자]
일본제철은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토요일 일본 정부 대변인 격인 스가 관방장관이 "정부에서 책임자를 지정해 강제징용 재판 관련 기업들을 담당하고 있다"면서 '통일된 대응'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니까 개별 기업이 원고들과 접촉하거나 협의하지 못하게 사실상 통제하고 있는 겁니다.
이번에 공시송달까지 하게 된 것도 일본 정부가 일본제철 측에 서류를 제대로 전달하지 않아서인데, 여전히 판결이 이행되는 걸 원천적으로 막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일본 제철은 침묵을 하고 있고요. 일본 정부는 계속해서 대항조치, 그러니까 보복조치를 언급하고 있죠?
[기자]
앞서 리포트에서 지적했듯이 공시송달의 효력이 발생하더라도 곧바로 현금화가 이뤄지는 건 아닙니다.
일본 정부도 그걸 알고 있으면서도 현금화가 실제로 이뤄지면 보복조치를 꺼내 들 수 있다는 얘기를 끊임없이 하고 있습니다.
스가 관방장관은 "정부가 모든 대응책을 검토했고, 방향성은 확실히 나와 있다"고 했는데, 그러면서도 실제로 그게 어떤 조치인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앵커]
어떤 조치인지 밝히지는 않고 있는데, 예상이 되는 게 있습니까?
[기자]
일본 안에선 "다음 수순은 금융제재가 될 것"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외무성 부대신을 지낸 사토 마사히사 자민당 의원은 실제로 삼성전자를 거론하면서 "금융제재가 가장 효과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일본 메가뱅크에서 대출한 자금을 회수하면 타격이 클 거라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이런 조치들은 일본에도 피해를 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실제로 보복조치를 꺼내 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앵커]
끝으로 우리 외교부는 어떤 입장입니까?
[기자]
외교부는 일본의 보복이 있을 경우, 맞대응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흐름을 바꿀 외교적 협의에 전혀 진전이 없는 상황이어서 당분간 한일관계는 냉각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영상디자인 : 신재훈·이창환)
윤설영 기자 , 강경아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