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트럼프 '틱톡' 제재에 대응 자제하는 中정부 "화웨이와는 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정부 밀착 화웨이-자수성가한 바이트댄스 달라
바이트댄스, 정부가 검열하는 뉴스·동영상 앱 서비스
전략적 중요도 떨어지고 對中 의존도 높이는데도 도움 안돼
MS, 중국 정부와 좋은 관계 유지…中 기업인들은 우려

미국 행정부가 중국의 짧은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을 미국에서 사용금지하겠다고 주장하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인수 협상에 사사건건 개입하며 그야말로 들들볶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수위 높은 대응을 자제하고 있다.

미국이 자국기업인 화웨이에 제재 칼날을 들이댔을 때와는 180도 다른 분위기다. 중국 정보기술(IT) 산업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은 "중국 정부는 틱톡, 바이트댄스를 화웨이와는 전혀 다른 기업 부류로 보고 있기 때문에 틱톡 제재로 미국에 보복할 가능성은 낮다"고 입을 모았다.

3일(현지시각) 바이트댄스의 창업자 장이밍(張一鳴)과 함께 일했던 한 중국 IT기업 임원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대부분의 중국인은 바이트댄스가 중국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한다고 하면, 코웃음을 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IT 전문 싱크탱크 하이툰의 리청둥 대표 역시 "중국 정부와 바이트댄스의 관계는 전혀 좋지 않다"며 "정부는 틱톡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통제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걸 알고 있다"고 말했다.

1987년 설립된 화웨이와 아직 10년도 안된 신생기업인 바이트댄스는 중국 국적 기업이라고는 것을 제외하면 중국 공산당 입장에선 전혀 다른 결의 기업이라고 중국 IT기업 관계자들은 말했다.

화웨이는 설립 이후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세계적인 IT기업으로 성장했고 중국의 모바일 기술혁명을 뒷받침하는 핵심 제품을 만들고 있다. 이 기업의 성패는 중국의 미래산업 발전과 직결된다.

반면 바이트댄스는 중국 정부의 검열 대상인 뉴스와 동영상 앱을 제공한다. 중국 정부에게 있어 전략적인 중요도가 떨어진다. 반(反)민주적인 통제와 검열에 반감을 가지고 있는 대도시의 젊은 고학력층을 소규모로 고용한다는 점도 화웨이와 차별점이다.

화웨이는 물론 바이트댄스의 경쟁사인 바이두와 텐센트가 중국 공산당 유력 간부들과 밀접한 관계를 쌓고 있지만 바이트댄스의 창업자 장이밍은 이렇다 할 친분관계나 지위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고 장이밍이 해외 출신도 아니고 미국 유학 경험도 없는 순수 토종 중국인이다.

화웨이에 비해 바이트댄스가 해외 의존도가 낮아 미국의 간섭에 의한 타격을 덜 받는다는 점도 중국 정부가 굳이 나설 필요가 없게 만드는 요인이다. 화웨이는 매출의 60% 이상이 해외에서 나오는 반면 바이트댄스는 미국에서 아직 수익이 거의 안나 중국에서 번 돈을 가져다 투자하고 있다.

중국 정부 입장에서 보면 바이트댄스는 세계 각국의 대중(對中) 의존도를 높이는 데도 큰 도움이 안된다. 화웨이는 글로벌 공급망을 중국 중심으로 이동시켜, 세계 각국의 중국 의존도를 높이는 역할을 했지만 바이트댄스는 주 고객층이 10대이고 앱 자체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 않다. 언제라도 다른 새로운 소셜미디어 플랫폼으로 갈아탈 준비가 되어있다.

중국의 독립 리서치 회사 플레넘의 펑추청 정치위험 분석가는 "중국 정부는 바이트댄스를 가지고 미국 정부와 또 다른 전쟁을 벌이려 하진 않을 것"이라며 "미국에서 가장 민감한 주제인 대선 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이 문제에 개입하고 싶지 않아한다"고 말했다.

틱톡의 북미 사업을 인수하려고 하는 MS가 그동안 중국 정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는 점도 굳이 반대할 필요가 없다는 내부 여론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MS는 중국의 기술 인재를 육성하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자처해왔고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위반하지 않는 정책을 운영해왔다. 현재 중국 컴퓨터 90%가 MS 윈도우를 쓰고 있다.

중국 정부와 달리 중국 기업인들은 미국에 의한 사실상의 틱톡 강제 매각이 앞으로 자국 내 기업 환경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중국 최대 여행서비스 제공업체 씨트립의 제임스 리앙 창업자는 SNS에 틱톡 관련 기사를 공유하며 "중국이 (IT산업에서) 우위를 점해야 하고, 인터넷을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즉각 삭제 됐다.

이현승 기자(nalhs@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