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끝나지 않았다[내 생각은/황영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중호우와 무허가 돼지 사육으로 인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에 비상이 걸리고 있다. ASF는 지난해 9월 국내에서도 발병하면서 가축질병 위기단계의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가 발령되었으며 아직도 유지 중이다. 이 바이러스는 얼려도 1000일을 버티고 바짝 말려도 1년 가까이 살아남는다. 급성형에 감염되면 치사율은 거의 100%에 이른다. ASF의 대표적인 전파 경로 중 하나가 사람들이 먹고 남긴 음식물을 통한 감염이다. 또 다른 전파 경로로 야생 멧돼지가 꼽힌다. 야생 멧돼지를 막기 위한 ‘이중 펜스’가 유럽에서는 일상화돼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지 않다. ASF 양성 야생 멧돼지 발견이 지속되고 있으며 폭우로 광역 울타리가 훼손돼 야생 멧돼지가 남하할 수 있는 위험도 커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멧돼지 남하를 차단하기 위해 포획 강화 및 광역 울타리 보수 등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지역 주민들은 울타리가 손상될 경우 관계 기관에 신속하게 신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황영주 농협중앙회 경주교육원 교수

※동아일보는 독자 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사회 각 분야와 관련한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