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 틱톡 금지 행정명령에 중국 외교부 "노골적 패권행위" 비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틱톡·위챗 등 중국 애플리케이션(앱) 퇴출 압박을 이어가자 중국 외교부가 “노골적 패권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사진=AP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선미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중국 애플리케이션(앱)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에 대한 탄압 중단을 요구하며 미국을 비판하고 나섰다.

7일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틱톡(TikTok) 등 퇴출 압박과 관련해 “중국은 자국 기업의 정당한 합법적 권익을 확고히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 대변인은 “해당 기업들은 시장 원칙과 국제 규칙에 따라 상업 활동을 하고 있다”며 “이들은 미국 법을 준수하고 있는데 미국은 국가 안보를 빙자해 힘을 남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노골적인 패권 행위로 중국은 단호히 반대한다”면서 많은 국제 사회 인사들이 미국의 행위를 비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제 규칙과 시장 원칙이 아닌 자신의 이익을 최우선시해 정치적 조작과 탄압을 자행하는 것은 국가 이미지 손상, 국제적 신뢰 하락만 가져올 것”이라며 “자업자득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국내 및 국제 사회의 이성적인 목소리에 귀 기울여 잘못된 행동을 바로 잡고 경제 문제의 정치화를 중단하라”며 미국 정부에 기업 탄압을 멈출 것을 촉구했다.

앞서 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45일 이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위챗 모회사 텐센트와 모든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