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부여 가림성에서 통일신라시대 우물 '집수정'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부여 가림성에서 확인된 조선 시대 집수정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문화재청은 백제 시대 거점산성인 충남 부여 가림성(사적 제4호)에서 통일신라 시대와 조선 중기에 사용됐던 우물인 집수정 2기를 최근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부여 가림성은 삼국사기에 501년(백제 동성왕 23년)에 쌓았다고 기록돼 있어 백제 시대 성곽 중 유일하게 연대와 당시의 지명을 알 수 있는 곳이다. 또 부여 일대의 석성산성, 증산성, 청마산성 등과 함께 사비도성을 보호하는 거점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집수정은 북성벽 내측부에 대한 수구와 집수 시설 조사 중 발견했다.

조선 중기의 집수정은 길이 4.9m, 너비 4.5m, 깊이 2.3m의 사각 형태로, 내부에서는 조선 시대 분청사기 및 기와 조각, 말머리 토우 등이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조선 중기에 축조됐다가 가림성이 폐성된 17∼18세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북성벽에서 조사된 수구지(성내의 물을 흘려 내보내기 위한 시설물)와 함께 조선 시대 성내 배수체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통일신라 시대 집수정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통일신라 시대 집수정은 조선 시대 집수정의 하층과 가림성 북성벽 사이에서 확인됐다. 길이 15m, 깊이 2.8m 이상으로 평면 형태는 원형이다. 물을 가운데로 모으는 집수정과 그 외곽에 돌로 축조한 물 차단 시설, 배수를 겸한 수로로 구성돼 있다.

문화재청은 내부와 주변 토층을 조사해 집수정의 최초 축성 시기와 축조 방식을 명확히 밝힐 예정이다.

연합뉴스

부여 가림성 전경과 집수정 위치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가림성은 지금까지 총 6차례 발굴조사가 진행됐으며, 동문지와 남문지의 축조 형태, 백제 시대 성벽 축성법, 백제∼조선 시대 개축한 성벽 흔적, 조선 시대 수구지, 정상부의 평탄지에 자리한 건물지 등이 확인됐다.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