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가짜뉴스 확산에…국민참여 팩트체크 오픈플랫폼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윤리교육 강화…맞춤형 미디어교육도 확대

정부 디지털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미디어 이용 증가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정부가 국민 참여형 팩트체크 플랫폼을 만들고 디지털 윤리교육을 강화한다.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미디어교육 시설을 전국에서 확대하고 생애주기 및 생활환경별 맞춤형 교육도 시행한다.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7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SNS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디지털 미디어 이용이 급증했으나 개인의 고립과 공동체 해체 가속화, 취약계층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심화하고, 허위정보 확산과 사이버 폭력 등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 강화 ▲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 배려·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 등 4대 전략과제에 따른 12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연합뉴스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선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팩트체크 오픈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 SNS·유튜브 등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교육으로 디지털 콘텐츠 활용 능력을 높인다.

팩트체크 시민교육을 확대하고, 각 분야 전문가가 전문 팩트체커로 활동할 수 있도록 심화교육을 실시한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정체성 확립, 소통과 사회 참여 등을 위한 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사이버 폭력과 혐오표현 등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미디어교육 거점시설의 전국 확대 구축을 추진하고, 누구나 미디어 제작과 체험을 할 수 있게 시설과 장비를 무상 지원한다.

미디어교육원을 교원연수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고, 학교미디어 교육센터를 신설해 원격수업이 본격화된 교육현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흩어져 있던 미디어교육 관련 정보는 온라인 미디어교육 플랫폼에 모아 공유·개방한다.

모든 세대의 미디어 능력 향상을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시행하고, 자유학기제·고교학점제 등과 연계한 학교 미디어교육도 늘린다.

농어촌 지역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교육을 확대하고 1인 미디어 창작자 양성 교육도 제공한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하며, 누구도 미디어교육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jos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