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 주간지 "아베,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 재발…후계는 스가 관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최근 병원행과 관련해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이 재발한 것이라고 일본의 주간지인 '슈칸분슌'이 보도했습니다.

이 주간지는 오늘(27일) 발매된 9월 3일 호에서 지난 24일 아베 총리가 도쿄 소재 게이오대학 병원에서 진찰을 받은 뒤 "(궤양성 대장염을 억제하는) 약이 효과가 없어져 수치가 올라가고 있다"고 말했다고 총리 주변 인물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이 인물은 "아베 총리는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이 재발했고, 게다가 악화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슈칸분슌은 전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1차 집권 때인 2007년 9월 궤양성 대장염 악화를 이유로 임기 중 사임한 바 있습니다.

총리 나이 17세에 발병한 궤양성 대장염은 일본 후생노동성이 지정한 난치병으로 증상이 호전됐다가 재차 악화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주간지는 전주 발매된 8월 27일 호에서도 아베 총리의 지난 17일 게이오대 병원 방문에 대해 '과립공흡착제거요법'(GCAP) 시술을 받은 것 같다고 병원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한 바 있습니다.

아베 총리가 궤양성 대장염 증상을 완화해주는 여러 약을 시험하다가 약물 치료가 어려울 때 실시하는 GCAP 시술까지 받게 됐다는 것입니다.

GCAP 시술마저 효과가 없으면 최종적으론 대장 적출 수술을 하게 된다고 슈칸분슌은 의료계 전문가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궤양성 대장염 증상의 악화 원인 중 하나는 정치적 스트레스이고, 의사들은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게 휴식을 권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베 총리의 건강 악화에 따라 집권 자민당 내에선 양원(참의원·중의원) 총회를 통해 새로운 총재를 선출하는 시나리오가 부상하고 있다고 슈칸분슌은 전했습니다.

자민당 규칙에 따르면 당 총재가 임기 중 사퇴하면 원칙적으로 참의원과 중의원, 당원이 참여하는 투표로 새로 총재를 선출하나 긴급을 요하는 경우 당 대회를 열지 않고 양원 총회로 후임자를 선출할 수 있습니다.

의원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는 일본은 다수당 총재가 중의원 투표로 결정되는 총리도 맡게 됩니다. 자민당은 현재 중의원의 과반을 점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이라는 긴급 사태를 이유로 양회 총회만으로 새 총재를 선출하면 아베 총리의 정치적 라이벌인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이 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계산이라고 슈칸분슌은 평가했습니다.

이시바 전 간사장은 현재 일본 언론사의 '포스트 아베' 여론조사에서 부동의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자민당 내 최대 계파(호소다파)의 수장인 아베 총리와 2위 계파(아소파)의 수장인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이 탐탁지 않게 여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원 총회만으로 새 총재를 뽑으면 소수 계파의 수장인 아시바 전 간사장은 선출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아베 총리는 당초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을 포스트 아베 후보로 점찍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재 아베 총리의 의중에 있는 사람은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라고 슈칸분슌은 전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와중에도 스가 관방장관이 관광 활성화 정책인 '코투 트래블'(Go to travel) 강행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도 그에게 힘이 실렸기 때문이라는 해석입니다.

'관광전략실행추진회의' 의장도 맡은 스가 장관의 간판 정책은 관광입니다.

슈칸분슌은 아소 부총리의 주변을 인용해 아소 부총리는 스가 장관을 소극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아베 총리의 자민당 총재 임기인 내년 9월까지 '코로나 대응 잠정 정권'을 조건으로 스가 장관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