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불 꺼진 식당·문 닫은 헬스장·텅 빈 카페…코로나 보릿고개 '자영업자 피눈물'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막기 위해 방역 지침 준수하지만…매출 손실 피해 눈덩이

"피해 큰 업종 중심으로 생계 지원 해달라" 자영업자 호소…일자리 대책 필요

카페 프랜차이즈 가맹점주 "형평성 논란…개인점·제과점 등에 인파 몰려"

아시아경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차단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가운데 31일 서울 중구의 한 프랜차이즈형 커피 전문점 매장에 좌석을 치워 놓은 채 포장 주문 고객들만 보이고 있다. 거리두기 강화 지침에 따라 앞으로 다음달 6일 자정까지 프랜차이즈형 커피 전문점은 영업시간과 관계없이 포장· 배달 주문만 가능하다. 또 수도권 일반 음식점, 휴게 음식점, 제과점은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포장· 배달 주문만 된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최신혜 기자] 30일 밤 10시, 종로의 한 24시간 해장국 식당 테이블 20곳 어디에도 손님은 없었다. 가게 사장 이모씨는 "8시30분경 있는 손님 모두에게 9시전에 정리해달라 부탁을 했다"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는 것이 중요한 시기인 만큼 방역 지침 등을 잘 지킬 생각이지만, 그럼에도 매출이 잘 나오는 밤·새벽 장사를 포기해야 해서 솔직히 너무 막막하다"면서 한숨을 지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준3단계(2.5단계)' 시행에 들어간 30일 서울 주요 상권 곳곳은 조용하고 침울했다. 야간 영업이 제한된 식당에 손님 흔적은 없었고 일찌감치 불이 꺼진 곳이 많았다. 아예 영업할 수 없는 헬스장, 당구장, 골프연습장 등은 영업 중단을 알린 글만 닫힌 문 앞에 붙어 있었다. 테이블과 의자를 치운 카페는 가끔 방문하는 테이크아웃 손님만 받는 모습이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30일 오후 10시 송파구에 위치한 한 식당이 영업을 조기 종료한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방역 우선하지만, 생계 막막…종업원은 무급휴가

수도권 방역 수위를 강화한 첫날부터 자영업자들의 시름은 깊었다. 대학로 일대 음식점들은 매우 침울한 분위기였다. 주말 점심시간인데도 손님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고 어두워질수록 일감이 없는 식당 사장은 멍하니 TV만 바라보고 있었다. 대학로의 한 주점 사장 김모씨는 "평소에 주말 밤에는 매장에 빈 테이블은 없는데, 코로나19가 시작된 이후 50%도 채워지지 않았다"면서 "최근에 수도권 내 확진자가 많이 나올수록 고작 2~3테이블만 손님을 받을 수 있었는데, 당분간 밤·새벽 영업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배달 서비스 등을 검토해야 하지만 솔직히 매출이 잘 나오지는 않는다"면서 "임대료를 어떻게 낼지 막막하지만, 당분간 문을 닫는 게 오히려 심신안정에 나을지도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대학로와 종로 인근에 있는 당구장, 탁구장, 스터디카페, 노래방, 골프연습장 등의 문은 일제히 닫혀 있었다. 닫힌 문에는 하나같이 집합 금지 조치로 9월6일까지 영업을 중단한다는 내용의 글이 붙어 있었다. 대학로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는 사장 박모씨는 "영업 중단으로 오는 당장 손해는 그래도 견딜 수 있지만 앞으로가 문제"라면서 "완벽하게 코로나19가 잡히지 않으면 신규 회원 유치를 이제는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인근의 골프연습장 사장 이모씨는 "매출 감소는 막막하지만 경제 타격보다는 국민의 안전이 우선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방역 지침을 잘 따를 것"이라면서 "단속에 걸리지 않는다고 혹시나 꼼수 영업을 하는 곳이 없었으면 좋겠고, 모두 다 잘 지켜서 빨리 이겨내는 것이 최선이며, 피해가 큰 업종을 중심으로 정부의 생계 지원이 빨리 나오기만 바랄 뿐"이라고 강조했다.


일자리는 빠르게 사라지고 있었다. 건대입구역 인근에서 주점을 운영하는 박모씨는 "상반기에 일하는 친구 2명을 내보냈고, 최근에는 2명에게 일주일 동안 무급 휴가를 가주면 좋겠다고 부탁을 했다"면서 "이러면 안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급여를 주기도 힘든 상황에서 뾰족한 대책이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아시아경제

30일 오후 송파구 소재 한 스타벅스. 손님들이 직원들의 안내에 따라 줄을 서 테이크아웃 전용 커피를 구매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페 앉지 못하자 제과점 북적…'형평성' 논란 불만

서울 곳곳의 카페는 대체로 한산했다. 이날 오후 5시에 방문한 송파 석촌호수 카페거리에 위치한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커피빈, 엔제리너스, 이디야 등 커피 프랜차이즈 전문점에 손님이 드나드는 곳은 스타벅스가 유일했다.


스타벅스 매장에 들어서니 입구부터 직원이 QR코드를 통해 명부를 작성하도록 안내했다. 이어 발열 체크, 손 소독 등을 실시한 후 일렬로 대기해 카운터에서 음료를 구입할 수 있었다. 홀 매장 내 좌석은 모두 한쪽으로 치워진 상태였고 손님들은 각각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 음료를 기다리고 있었다.


투썸플레이스, 커피빈, 엔제리너스, 이디야, 파스쿠찌 등 커피 프랜차이즈도 일제히 좌석을 치우고 테이크아웃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오가는 손님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엔제리너스는 아예 주차공간을 모두 선으로 분리해 장시간 손님이 머무는 것을 막고 있었다. 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직원은 "스타벅스는 워낙 마니아가 많다 보니 테이크아웃 줄이 있지만 우리를 포함해 투썸, 커피빈 등 프랜차이즈는 테이크아웃 손님마저 거의 없어 당황스럽다"고 털어놨다.


수도권에서 할리스를 운영 중인 한 자영업자는 "마음 같아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되는 8일간 차라리 문을 닫고 집에서 백수 생활을 하고 싶은 심정"이라며 "코로나19 이후 임대료에 인건비에 폐기할 자재에 모든 것이 참 어려운 상황"이라고 한숨 쉬었다.

아시아경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차단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가운데 31일 서울 중구의 한 프랜차이즈형 커피 전문점 매장이 테이블에 의자를 올린 채 포장 주문 고객들만 보이고 있다. 거리두기 강화 지침에 따라 앞으로 다음달 6일 자정까지 프랜차이즈형 커피 전문점은 영업시간과 관계없이 포장· 배달 주문만 가능하다. 또 수도권 일반 음식점, 휴게 음식점, 제과점은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포장· 배달 주문만 된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적용 대상이 아닌 개인 커피전문점, 제과점, 프랜차이즈형 휴게음식점 등은 외려 인파가 몰려 대조적 상황을 연출했다. 석촌호수 인근 개인 커피전문점 대다수는 테이블 절반 이상이 손님들로 가득 차 있었다. 매장 규모가 꽤 크지만 프랜차이즈형 커피전문점이 아니라는 이유로 영업을 이어가고 있었다.


뚜레쥬르 등 제과점도 베이커리와 함께 음료를 즐기는 손님들로 인산인해였다. 빙과류를 취급하는 배스킨라빈스, 설빙 등에도 사람이 가득 차 있었다. 프랜차이즈이지만 커피전문점이 아닌 휴게음식점으로 등록돼있기 때문에 매장 영업이 가능한 탓이다.


때문에 형평성 논란이 불거졌다. 소규모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운영하는 사장 김모씨는 "매달 적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프랜차이즈라는 이유로 홀 매장 영업을 하지 못하게 됐는데 바로 옆 개인 카페 두 곳은 우리 매장보다 규모가 커도 개인점이라는 이유로 오히려 호황"이라며 "코로나19 확산을 막는다며 프랜차이즈와 개인점을 차이두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꼬집었다.


영업 중인 커피전문점과 제과점 등에서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지 않는다며 우려를 표하는 시선도 있었다. 주부 한모씨는 "카페형 제과점에 들렀는데 좌석 거리두기도, 마스크 착용도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며 "개인점에도 보다 철저한 방역 관련 권고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최신혜 기자 ss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