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의 창업자인 런정페이 회장 〈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중국에서는 억대 연봉을 받고 화웨이에 입사한 ‘주링허우(90년대생)’ 세대 두 명이 큰 화제가 됐다. 올해 20대 말인 이들은 우한의 화중과기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장지와 같은 학교 출신 야오팅이다. 화웨이의 ‘천재 소년 프로젝트’로 입사한 장지와 야오팅의 첫해 연봉은 각각 202만 위안(3억4700만원), 156만 위안(2억6800만원)이다. 지난해 중국 도시 근로자의 평균 급여가 연 7만5000위안(약 1290만원)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초특급 대우다.
━
'천재 소년 영입 프로젝트' 본격 개시
지난해 시작된 화웨이의 ‘천재 소년 프로젝트’는 창업자인 런정페이(76) 회장이 직접 챙긴다. 매년 20~30명의 박사급 인재를 파격적인 대우로 영입한다는 게 요지다. 런 회장은 지난달에는 상하이지아통대와 푸단대·둥난대·난징대를 연이어 방문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런 회장이 방문한 대학은 통신 및 첨단기술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라며 “그는 중국에서 성장한 인재를 개발하는 것이 화웨이의 딜레마를 해결하는 핵심 요소로 여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런 회장은 상하이지아통대에서 “미국의 일부 정치인들이 우리를 죽이고 싶어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며 “살고자 하는 욕구가 우리를 분발시키고 자구책을 찾도록 만들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지난달 화웨이에 억대 연봉을 받고 입사한 90년대생 장지에 대한 기사를 다뤘다. 〈글로벌타임스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중국 최고 연구 기관과 독자기술 협력 논의
런 회장은 지난 18일에는 주요 경영진을 이끌고 중국과학원(CAS)을 방문했다. 중국과학원은 지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선정한 ‘과학계 논문 기여도’ 평가에서 미국 하버드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프랑스 국립과학원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한 중국 최고 연구기관이다. 이 자리에서 런 회장은 “화웨이는 중국과학원과의 기존 협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대의 기술 협력에 집중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바이춘리 중국과학원장은 “화웨이는 중국의 브랜드이자 국가의 자부심”이라며 “중국과학원의 기술 혁신 자원과 화웨이의 고품질 자원을 모아 미래의 기술 개발 동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화답했다.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은 최근 중국과학원을 방문해 기술 협력을 논의했다. 왼쪽에서 두 번째가 런 회장, 세 번째는 바이춘리 중국과학원장이다. 〈중국과학원 홈페이지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재고로 버틸 수 있는 기한은 최대 2년
런 회장의 최근 행보를 보면, 존폐의 갈림길에 선 '절박함'과 '위기 타개책'을 동시에 엿볼 수 있다. '최대한 버티면서, 인재를 영입하고, 중국 대학·기업·연구기관과 협력해, 독자 기술 개발에 나선다'는 것이다. 런 회장이 화웨이 직원들에게 자사주 매입을 권유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비상장사인 화웨이는 5년 이상 근무한 임직원이 향후 5년간 급여의 25%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자사주를 살 수 있는 새 규정을 최근 마련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화웨이의 자사주 매입 활성화 정책은 연구개발을 위한 신규 자금 조달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20일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전문가의 말을 인용, “화웨이가 확보한 칩 재고로 약 2년 동안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수 있지만, 그 이후 칩 공급을 위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 경쟁력과 생존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가 없는 한 화웨이는 짧은 기간 내에 자체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5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한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오른쪽).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中 정부, 美 겨냥한 '블랙리스트' 규정 발표
한편, 최근 중국 상무부는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 즉 블랙리스트 규정을 19일 발표했다. 중국 기업과의 정상적인 거래를 끊어 시장 거래 원칙을 위반하거나 중국 기업에 대한 차별적 조치를 한 기업과 개인 등이 대상이다. 화웨이나 미국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중국 정부가 미국에 대응·보복 조치를 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5월 "중국 정부가 애플과 퀄컴·시스코·퀄컴·보잉 등 미국 기업에 보복 조치를 할 수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김태윤 기자 pin21@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