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항공사들의 엇갈리는 희비

한진그룹, 아시아나항공 인수 결의…"세계 10대 항공사 도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적자금 투입 최소화, 항공산업 경쟁력 강화 차원"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한진그룹이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의했다. 한진그룹은 이번 인수를 토대로 세계 10대 글로벌 네트워크 항공사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16일 한진그룹에 따르면 한진칼과 대한항공은 이날 오전 각기 이사회를 열고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키로 결정했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은 총 1조8000억원으로, 내년 초 2조5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인수대금을 마련한다.


한진칼은 KDB산업은행과의 계약에 따라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5000억원, 교환사채 발행을 통해 3000억원 등 총 8000억원의 자금을 확보해 대한항공 유상증자에 참여하며, 유상증자 전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에 쓸 수 있도록 8000억원의 자금을 양사에 대여한다.


대한항공은 이 자금으로 아시아나항공의 영구채 3000억원을 인수하고, 신주 인수대금 1조5000억원에 대한 계약금 3000억원에 충당한단 계획이다. 이 경우 아시아나항공은 연말까지 운영자금을 확보하게 되고, 영구채 3000억원으로 자본을 추가확충하게 돼 재무구조를 개선하게 된다.


KDB산업은행이 한진칼에 출자하는 방식을 택한 이유는 한진칼이 대한항공의 유상증자에 참여함으로써 대한항공에 대한 한진칼의 지분을 유지해 안정적인 지주회사 체제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진칼 역시 KDB산업은행으로부터 8000억원을 전액 차입할 경우 재무구조가 악화될 수 있고 또 사안의 긴급성을 감안해 신속하고 확실하게 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제 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추진한다.


한진그룹은 "이번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정한 주된 이유는 코로나19로 고사 직전에 있는 국내 항공산업의 조속한 안정을 위한 것'이라면서 "항공산업의 구조 개편을 통해 근본적인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추가 공적자금 투입을 최소화하여 국민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판단이 이번 거래를 성사시킨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마무리하면 세계 10위권 항공사로 부상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우선 양사 통합으로 노선 운영 합리화,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수익기반을 강화할 수 있고, 허브공항인 인천공항의 슬롯 점유율 확대를 바탕으로 글로벌 항공사와의 조인트벤처(JV)를 확대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해외 환승 수요를 유치하게 될 수 있단 이유에서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