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중국에 콜센터 설치→대포폰반출...123억 피싱 일당 검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양천서, 콜센터 총책 등 40명 붙잡아 12명 구속
국내 업자들 '휴대폰깡' 이용해 대포폰 모아줘
한국일보

중국 청도에 보이스피싱 콜센터를 개설하고 565명에게 123억원을 편취한 일당이 검거됐다. 사진은 범행에 쓰인 휴대폰. 양천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해 피해자 수백명로부터 100억원대 현금을 가로챈 대규모 보이스피싱 일당이 검거됐다. 이들은 중국 칭다오를 거점으로 콜센터를 만들고, 국내 통신업자들과 짜고 만든 대포폰(타인 명의로 개통한 휴대폰)을 이용해 565명의 돈을 가로챈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양천경찰서는 1일 보이스피싱 콜센터 관리총책, 국내 대포폰 공급총책 등 40명을 검거, 이 중 12명을 구속 상태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내국인 외에 중국인 환전책 1명도 포함됐다. 이들 일당에게는 △범죄단체조직·가입·활동 △사기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등 혐의가 적용됐다.

이들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국내 휴대폰 대리점·판매점 업자들과 짜고 070 인터넷 전화와 대포폰을 수백대 모집해 중국 보이스피싱 콜센터에 보낸 뒤, 피해자들에게 금융기관을 사칭하며 접근했다. 이들은 저금리 대출을 해주겠다며 사람들을 속여 123억원을 불법으로 가로챈 것으로 드러났고, 피해자는 565명에 이른다.
한국일보

중국에 보이스피싱 콜센터를 개설하고 565명에게 123억원을 편취한 일당이 검거됐다. 사진은 범행에 쓰인 휴대폰. 양천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찰은 올해 2월 보이스피싱 현금 수거책을 검거하면서 이들 조직에 대한 수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경찰은 총책 등 조직 윗선 검거에 착수하는 동시에, 범행에 쓰인 인터넷전화 번호를 추적해 800대 분량의 대포폰과 통화내역을 분석했다. 이후 공범간 통화내역, 금융거래내역 분석 등을 통해 주요 조직원 44명의 신원을 파악했다. 이중 4명의 소재지는 중국으로 나타나 이번 검거 대상에 포함되지 못했다.

경찰 수사결과 국내 휴대폰 업자들은 범행에 이용될 것을 알면서도 신용불량자를 대상으로 10만~15만원을 받고 휴대폰 소액대출(속칭 '휴대폰깡') 용도로 개통해 준다며 명의자를 모집했다. 이후 대포폰을 개통해 보이스피싱 조직에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이들 통신업자 32명도 입건, 전기통신사업법 위반과 사기방조 혐의를 적용해 송치했다.

이들은 처음부터 보이스피싱을 위한 대포폰을 조달할 목적으로 정식 사업자로 등록하고 대리점·판매점을 차렸다가 몇달 뒤 폐업하는 수법으로 기기를 모아왔다. 6개월간 회선을 유지하면 통신회사에서 보조금이 나온다는 점을 이용, 명의자 요금을 일부 대납하기도 하면서 회선을 유지해 이중으로 돈을 받기도 했다.

경찰은 아직 검거되지 않은 조직원들을 지명수배하는 한편, 국외 체류 중인 조직원들은 인터폴 적색수배 등 국제 공조수사를 통해 검거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검찰·경찰·금감원을 사칭해 금전을 요구하거나, 출처가 불분명한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를 요구하는 것은 보이스피싱"이라며 "피싱 사기 유형을 미리 파악해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일보

중국 청도에 보이스피싱 콜센터를 개설하고 565명에게 123억원을 편취한 일당이 검거됐다. 사진은 범행에 쓸 휴대폰 명의자를 모집한 통신업자 매장. 양천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